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활성탄의 구조와 표면 특성 및 산화

전문가 제언
○ 활성탄의 응용은 본 리뷰에서도 서술한 바와 같이 흡착제, 촉매제 및 촉매 지지체로 그 활용 분야가 표면 기능기 도입 기술의 발달로 점차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 활성탄 기술 수준은 기체 흡착 및 수용액 중의 환경 오염물질을 흡착하는 수준으로 활성탄 표면개질에 의한 선택적 흡착질 제거 능력 향상, 촉매 및 촉매 지지체로써의 응용분야는 아직 연구 개발이 뒤떨어져 있는 실정이다.

○ 활성탄 표면은 산성, 염기성 및 중성으로 분류되며,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표면에 산소 함유 기능기인 카르복실, 페놀, 카르보닐과 같은 산성 기능기와 니트릴, 아민 및 아마이드기와 같이 질소가 함유된 기능기를 도입시킬 수 있으므로 표면 기능기 도입 방법 연구, 활성탄 표면화학 특성 분석 및 흡착, 촉매 작용 등에 미치는 효과 연구 등에 대한 연구가 앞으로 큰 관심을 갖고 활발히 연구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 카본 블랙 및 CNTs를 포함하여 활성탄처럼 graphene 층의 구조를 갖는 탄소 소재들은 습식 및 건식 산화반응에 의하여 탄소표면에 다양한 산소 함유 기능기를 도입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21세기 핵심 소재로 인식되고 있는 CNTs에 대한 기술은 나노기술 중의 핵심 기술로 이미 그 활용 분야는 전자공학, 공업적 제조공정, 혁신 소재 개발, 환경, 에너지 뿐 아니라 생물공학 및 의약 분야 등의 미래 기술로 부각되고 있는 실정으로 표면 기능기 도입은 CNTs의 활용 분야를 더욱 확대시킬 것이다.

○ 활성탄은 이종 원자 및 무기 불순물의 존재로 구조특성 및 표면화학이 복잡하나 탄소나노튜브는 구조 특성과 표면화학에 균일성이 있어 도입 기능기에 대한 최적화 조건 설정이 활성탄보다는 어렵지 않을 것으로 생각되어 집중적 이 분야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선택적 흡착 및 촉매제 개발 분야의 핵심기술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향후 산업 및 학계의 많은 연구가 기대된다.

저자
Wan Mohd Ashri Wan Daud, Amir Hossein Houshamnd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0
권(호)
19
잡지명
Journal of Natural Gas Chemistr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267~279
분석자
김*열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