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중국의 LFG 사업현황

전문가 제언
○ 매립장에서 LFG를 발생시킬 수 있는 폐기물은 분해 가능한 유기성 폐기물로서 주로 농림업 부산물 또는 도시에서는 음식물쓰레기와 같은 유기성 폐기물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 그러나 음식물쓰레기의 매립이 금지되고, 도시폐기물도 소각 위주의 정책으로 가게 되면 LFG 생산은 줄어들 수밖에 없다. 우리나라도 환경부의 음식물쓰레기 직접매립 불허로 LFG 생산이 크게 감소하여 부산, 인천 등 전국 10여 곳에 산재해 있는 LFG 발전설비의 2005년 평균가동률은 48.7%에 불과하다.

○ 폐기물 처리에 있어서 매립처분은 최종적 수단이다. 매립처분하기 전에 3R(Reduce, Reuse, Recycle)을 통하여 폐기물 발생량을 최대한 줄이고, 그러고도 발생하는 폐기물은 소각 등의 방법으로 에너지를 회수하고, 최종적으로 매립 처분을 하게 된다. 앞으로는 매립장 부지도 구하기가 더욱 어려워질 것이기에 매립장으로 부터의 대규모 LFG 생산은 어려워질 전망이다.

○ 국내의 대규모 매립지인 난지도 및 김포 수도권 매립지는 대규모로서 앞으로도 당분간은 충분한 양의 LFG를 생산할 것이다. 이러한 대규모 매립지에서는 발전용으로도 충분한 양의 가스가 생산될 것이지만 지방의 소규모 매립지에서는 발전용 가스의 확보가 쉽지 않을 전망이다. 따라서 소규모 매립지에서 생산되는 LFG를 발전 이외에 다른 용도로 이용하는 것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 LFG의 용도로서는 도시가스, 자동차 연료, 수소생산, 연료전지에 이용, 메탄올 생산 등의 여러 방안이 있다. 부가가치로 따지면 LFG에서 수소를 생산하는 것이 가장 그 가치가 높다. 10,000cu.ft당의 부가가치를 보면 수소생산이 41.25$, 내연기관 발전이 14.28$, 연료전지 발전이 17.85$, 도시가스가 7.50$이다(1999, J. L. Pierce). 향후의 수소에너지 시대를 맞아서 국내에서도 서울시에서 서울 월드컵공원에 LFG를 이용한 수소스테이션을 2010년 가동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다.
저자
Zezhi Chen, Huijuan Gong, Ru Jiang, Qin Jiang, Weili Wu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0
권(호)
30
잡지명
Waste Manage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006~1010
분석자
길*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