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산소 동위원소를 통해 본 지중해 기후변화

전문가 제언
○ 산소는 16O, 17O, 18O의 3가지 동위원소로 구성되어 있다. 가장 많은 것이 16O이고 이어서 18O, 17O의 차례인데 17O는 매우 적고, 18O는 16O 1,000개 당 18O 2개의 비율로 존재한다. 기온이 낮을 때는 16O의 물이 빨리 증발되어서 바닷물에는 18O가 상대적으로 많게 된다. 기온이 올라가면 18O의 물도 증발이 잘 되므로 강수에 18O의 비율이 기온이 낮을 때보다 많아진다. 기단이 따뜻한 곳에서 추운 곳으로 이동하면서 비가 되어 내리는데 이때는 무거운 18O가 먼저 비가 되어 내린다.

○ 따라서 18O/16O의 비율은 과거의 온도를 나타내는 지표가 된다. 해양생물의 껍질 CaCO3에 들어있는 18O/16O의 비율은 과거의 해수 온도를 나타내는 지표가 되고, 지상의 석회암 동굴의 CaCO3에 들어있는 18O/16O의 비율은 과거의 기온을 나타내는 지표가 된다.

○ 과거의 기후를 알아내는 데에는 해저퇴적물을 시추하여 분석한 자료, 남극과 그린란드 빙하를 시추하여 분석한 자료가 사용된다. 또 바닷물의 산소동위원소 비율이 변하므로 바다에서 살고 있던 해양생물체의 탄산칼슘 껍질을 분석하면 당시의 해수 온도를 알 수 있다.

○ 1998년 남극의 3,488m에 위치한 러시아 보스톡 기지에서 3,623m까지 시추한 얼음기둥을 분석하고 과거 42만 년간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추정하였는데, 이산화탄소 농도는 200~280ppm 사이에서 변하였다. 최근의 IPCC의 A2기후변화 시나리오에서는 2100년의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온실가스의 농도를 825ppm으로 추정하고 있다.

○ 46억 년에 이르는 지구의 역사에서 기후는 온전히 지구궤도운동의 변화 또는 태양활동의 변화, 화산의 폭발과 같은 자연의 변화에 따라 변하였다. 지금의 기후변화는 이러한 요인 이외에도 인간이 만들어 놓은 인위적인 요인이 들어 있는데, 이러한 인위적인 변화가 지구 기후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서는 아직 결론이 확정된 상태는 아니지만 근래 수십 년간에 기후의 변동성이 증대된 것만은 사실이다.
저자
C. Neil Roberts, Giovanni Zanchetta, Matthew D. Jones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0
권(호)
71
잡지명
Global and Planetary Change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35~140
분석자
길*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