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크단백질을 기반으로 한 복합재료
- 전문가 제언
-
○ 동물들이 생산하는 실크 단백질의 높은 기계적인 성질과 생체적합성들을 이용하여 오랫동안 종이, 섬유, 상처용 붕대 등에 응용해 왔다. 본고는 누에와 거미에 의해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실크 섬유의 복합체 구조를 소개하고 다른 폴리머(천연과 합성) 혹은 무기입자를 조합한 인공복합체(섬유, 필름, 폼, 젤, 입자)의 제법과 그 활용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 실크 단백질은 주로 누에에서 얻은 실크에 대해 연구되었고 거미에서 나오는 실크 연구는 많지 않다. 실크섬유 중에는 기계적 성질이 Nylon, Kevlar, 고장력강(high-tensile steel)보다 높은 것도 알려져 있으며 특히 major ampullate(MA) silk grand에서 나온 단백질로 만든 거미 실크 섬유는 Kevlar와 비슷할 정도로 매우 높은 인장강도와 적정한 탄성을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고 있다.
○ 앞으로 실크 단백질에 기초한 복합체는 섬유의 활용뿐만 아니라 조직골격(tissue scaffold), 약물전달체 등, 그 활용 가능성이 높을 뿐 아니라 환경친화성 재료로서 기능성을 높이는 복합재료를 만들고 이를 응용하는 과학이 발전되고 있어 앞으로의 경제 활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리라 예측할 수 있다.
○ 특히 우리나라는 주로 누에에서 나오는 실크 산업이 발전했으며 실크 직물 가공에 집중된 산업이 주를 이루고 있다. 앞으로도 연구와 산업 방향도 실크 섬유를 기반으로 하는 복합체의 합성과 활용에 대한 기초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며 이 분야의 발전이 기대된다.
- 저자
- John G.Hardy, Thomas R.Seheibe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0
- 권(호)
- 35
- 잡지명
- Progress in Polymer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093~1115
- 분석자
- 원*무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