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지하수관리에 관한 도전과 정책
- 전문가 제언
-
○ 지하수는 지표면 밑을 흐르는 물을 이르는 말이다. 지구의 외부는 암석으로 이루어진 지각으로 덮여 있고, 식물이 자라는 지표면 바로 밑에는 암석을 관통하여 물이 흐르고 있다. 대부분의 지하수는 흙 속으로 스며든 비와 눈 녹은 물이 모여서 형성이 된다.
○ 물은 암석에 도달하면 암석 사이의 열려 있는 틈을 통해 흐른다. 지하수가 흐르는 속도는 지하의 환경에 따라 일정하지 않아서 하루 평균 1.5m 정도로 흐르는 곳도 있지만, 어떤 곳의 지하수는 연평균 약 1.5m의 속도로 아주 천천히 흐르기도 한다.
○ 우물은 물을 얻기 위하여 땅을 파고 물이 괴게 만든 시설이다. 우물 속의 물은 빗물이 땅 속으로 스며들어 흙과 바위 사이에 고인 것이다. 우물은 토양으로 여과된 물이므로 수질이 좋은 편이나 깨끗한 곳에 자리 잡아야 하고, 땅 위에 있는 물이 우물 안으로 직접 들어가지 않도록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
○ 우리나라 지하수법은 전국의 지하수에 대하여 매년 지역별 조사계획을 수립하고, 지질조사-물리탐사-시추조사 및 지하수 수위-수질조사 등을 통하여 지하수의 부존특성 및 개발 가능량에 관한 기초적인 조사를 실시한다.
○ 지하수 기초조사를 실시할 때에는 다음의 사-항을 포함한 축적 5만 분의 1의 수문지질도를 작성 한다: (1) 지형 및 지하지질의 분포, (2)지하수의 수위분포, (3) 지하수를 함유하고 있는 지층의 구조와 수리적 특성, (4) 지하수의 수질특성, (5) 지하수의 개발가능성 및 (6) 기타 지하수의 보존특성 등에 관한 기초적인 조사를 위하여 필요한 사항 등이다.
○ 우리나라 지하수수질 관리는 환경부가 수질현황과 수질변화의 추세를 정기적으로 파악하여 지하수 수질 보전정책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지방)환경관리청에서는 오염우려지역 781지점에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일반지역 1,240개 지점에 수질측정망을 구축하였다.
- 저자
- Insa Theesfeld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0
- 권(호)
- 48(1)
- 잡지명
- Ground Water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31~142
- 분석자
- 유*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