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본결정성장용 내화금속 끈
- 전문가 제언
-
○ 결정을 작성한다는 것은 현재 거의 단결정을 만드는 것으로 알고 있다. 단결정에는 결정의 구성성분(원자, 이온, 분자)배열이 3차원의 한 축 방향으로 주기성을 가지고 정렬되어 있어 결정의 물성 연구에는 단결정이 인기 있는 결정체인 것은 사실이다. 용도 면에서는 굳이 단결정성장을 선호할 필요는 없다.
○ 대부분의 결정은 인상법, 수열방법에서 막대형으로 성장한 것을 용도에 맞게 잘라서 소자로 사용한다. 용도에서 수요가 많은 반도체, 특히 실리콘(Si)은 광전효과를 이용하여 태양광발전에 그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광전지용으로는 판상, 또는 리본 상 결정이 요구된다. 반도체에서 Ge과 CdS의 리본결정은 오래전에 개발에 성공하였다.
○ 리본결정은 형성메커니즘이 단결정과 다르다. 결정핵이 생길 때에 V자 면을 가지는 쌍정(twin crystal)을 동반한다. 쌍정은 성장 때에 외부의 충격에 의한 물리적인 응력에 의하여 생기는 것으로 본다. 쌍정 자체는 결정에서 결함으로 취급한다. 결함이 있는 곳에는 다른 불순물이 들어갈 장소를 더 많이 제공한다.
○ 리본결정을 만드는 원리는 나란한 두 개의 금속 끈을 용융물이 들어 있는 도가니의 용융물 표면에서 인상하면 두 가닥의 끈 사이에서 판상결정을 형성한다. 발명품은 특수한 끈을 작성하는 기술이다. 이 끈을 사용해서 리본결정을 성장하면 결정 내부에 불순물이 들어가는 양이 크게 감소한다는 것을 소개하고 있다.
○ 끈은 3가지 핵심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화금속 코어(끈)라고 하는 것은 내화금속의 미세 철사이다. 이 내화 철사를 용융실리콘으로 박막을 형성한다. 이때 형성된 박막은 내화 철사성분과 실리콘성분의 화합물로 변한다. 이것이 제1박막이다. 제1박막에 카본(C)으로 코팅한다. 이것이 제2박막이다. 내화물에 두 겹의 박막으로 코팅된 끈이다.
- 저자
- Richardson et al.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0
- 권(호)
- WO20100028103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22
- 분석자
- 박*학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