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고포화자속밀도를 갖는 연질자성도금막

전문가 제언
○ 이미 30년 전부터 습식전기도금방법으로 제조한 Ni80-Fe20퍼멀로이 박막을 자기코어용 헤드에 실용화되고 있다. 이 기술은 종래의 진공증착이나 화학증착 등의 건식법보다 막 형성속도가 빠르고, 100℃이하의 저온에서 정량적으로 수㎛범위의 얇은 막 제조가 가능한 점이 특징이다.

○ 얇은 연질자성도금 막은 일반적으로 낮은 보자력(Hc)과 높은 포화자속밀도가 요구되고 있다. 본 보고에서는 NiFe, CoNiFe, CoFe계의 자성합금도금에 관한 연구결과로서, 결정입자를 미세하게 하여 낮은 보자력을 얻을 수 있었다. 첨가제에 의한 혼합결정, 전기화학적 염다리(Salt Bridge)사용한 이중 셀(Dual Cell), 무전해 도금방법을 제시하였다.

○ Co, Ni, Fe로 되는 강자성합금의 포화자속밀도는 Co, Ni, Fe의 조성비에 의해 결정되고, 높은 포화자속밀도를 갖는 입상크기는 10㎚정도가 바람직하다. 결정구조가 규칙적일수록 높은 포화자속밀도를 나타낸다. 그러나 전기도금에 의한 CoFe연질자성박막은 첨가제를 함유하지 않는 도금 막에서는 최대 20kG정도의 포화자속밀도밖에 얻어지지 않았다. 도금액 산화방지를 위한 환원제를 첨가하여 Fe3+이온의 생성을 방지하여 수산화철 슬러지[Fe(OH)3] 발생을 최소화 할 필요가 있다.

○ 국내에서도 자기저항효과형의 헤드, 기억소자 및 증폭소자에 관한 특허(특1995-0034079), 자기헤드제조방법(10-0206058) 외 3건이 공개되었다. 이 경질자성과 연질자성, 비 자성 금속의 다층막으로 구성된 연질자성 층의 자기기록매체제조에 관한 특허를 조사한 결과, 기록용 자기헤드를 제조하는 방법은 증착에 의한 건식법을 사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 국내에서는 아직 습식도금에 의한 자기헤드용 연질자성박막을 생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유는 제조원가, 설비, 품질, 전문기술인력 부족인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첨단이동용 고주파신호고속전송용 자성도금부품개발 국산화를 위한 수입대체, 품질기술지원활성화가 필요하다.
저자
Tetsuya OSAK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0
권(호)
61(6)
잡지명
表面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402~408
분석자
김*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