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포메이션(cell formation)문제 방법론의 발전
- 전문가 제언
-
○ 본 연구는 과거 10년간 셀포메이션(cell formation; 셀/소 구획 구성, 이후 CF)문제에 관한 논문을 집중적으로 고찰하여 접근하고 있는 방법론을 식별하여 수리계획법, 발견적/유사발견적방법, 퍼지이론 그리고 신경네트워크로 분류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방법론이 제시하고 있는 접근 공식들을 제약식과 목적함수별로 설정한 기준을 비교하고 평가해 보여주고 있다.
○ CF문제는 비다항적 난해 조합최적화(NP-hard combinatorial optimization; 이후 CO)기법으로 CF 연구가들은 많이 접근하고 있다. 이들 접근방법은 부품/기계 효과적인 활용, 동일 형태의 다수 기계, 운영처리 요구사항, 불안전한 수요환경을 다루고 있다.
○ 그러나 아직도 실 산업체 적용 가능한 CF 접근방법, 부품과 기계뿐만 아니라 작업자/노동자와 도구를 함께 고려하는 제조 셀(manufacturing cell) 그리고 실제 적용할 수 있는 문제 크기로 기존방법론을 평가하고 비교하는 것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앞으로 이러한 실제상황에 보다 접근하는 연구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또한 CF 연구가들은 단일목적이 아닌 다수목적에 더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으며 정적이 아닌 동적인 CF에 관심을 두고 더 포괄적인 모델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 장차 기대되는 방법론으로 주목받고 있는 PSO 및 ACO, 부품/기계 효과적인 사용이 불확실할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퍼지이론 그리고 복잡한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혼합유사발견적방법 등에 연구가들은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이다.
○ CF 접근방법은 상호작용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지원이 가용하지 않아서 실 산업체 적용에 제한을 받고 있다. 장차 연구방법이 산업체에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상호작용 지원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면 CF 접근방법은 유익할 수 있을 것이다.
- 저자
- Grammatoula Papaioannou, John M. Wilson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10
- 권(호)
- 206(3)
- 잡지명
-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509~521
- 분석자
- 김*영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