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조간대 매립토양의 변화

전문가 제언
○ 조간대토양은 조석운동으로 독특한 물리?화학적 특징을 보인다. 이베리아반도 북서쪽 대서양 조간대에서, 18~20세기 전반까지 간척?매립하여 도시나 농업에 이용한 염성 늪은 황철석산화, 양이온과 염류의 침출, 토양산성화를 유발한다. 이 변형은 산성 황산염 토양 같은 환경문제를 일으키고, pH를 낮추며, 탄산염을 침출시킨다.

○ Biscay 만(스페인의 북서쪽)의 Villaviciosa와 Barquera의 San Vicente 하구의 자연토양과 매립지를 만조빈도로 지도화하고 구획했다. 두 곳의 변화경로는 매립토양과 매립 후 조석운동으로 윤곽이 변하여 원형대로 남아있지 않는 낮은 부분을 기록과 분석으로 평가했다.

○ 매립영향은 하구의 침식과 침전양상 변화, 흙다짐, 주로 탄산염 침출과 지하수면 깊이의 변화로 일어난 산성화, 산화상태의 풍화에 저질의 노출, 지형학적 면과 기능인 면에서 차이성을 나타낸다.

○ 매립의 주 지층변화는 완전하지 못하지만 Ap, A/C, Cr 층이 자연보다 확실하고, 산성화, 탄산염과 염수의 침출, 유기물산화 등의 현상과 연관된다. 저지단구와 고지단구 토양단면에 다른 타입이 나타났다.

○ 양이온(Ca2+, Mg2+, K+, Na+)의 침출은 산성 pH와 낮은 탄산염 함량을 촉진한다. Villaviciosa에서 양이온 침출은 고지단구에서만 나오지만 San Vicente은 K, Na, Cu, Zn이 저지단구에서도 나온다.

○ San Vicente 매립지의 화학적 변형은 탄산염 농도가 낮기 때문이며 이로 인하여 완충용량이 낮을 수 있다. San Vicente 매립지의 Eucalyptus 조림은 토양산성화를 높이고, 수목의 흡수량이 많아 지하수면 깊이가 낮아질 수 있다.

○ 이런 연구는 우리도 연안 매립지 보상문제나 학술적인 면에서 많이 하므로 아주 일반화된 것으로 새로운 것은 없지만, 단지 탄소저장 문제를 거론하여 CO2 감축과의 연결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는 특징이 있다. 우리도 이를 참고해야 하겠다.
저자
Susana Fernandez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0
권(호)
114
잡지명
Geomorph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497~507
분석자
곽*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