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공학에서 공정설계 및 제품설계의 교육 동향과 과제
- 전문가 제언
-
○ 공정설계와 제품설계는 화학공학 교육에서 핵심적인 과목으로써, 공학 기본지식을 실제 공학에 결합시키는 수단을 제공한다. 공정설계는 화공기사가 수행할 수 있는 흥미로운 업무로써 화학공학 기초지식과 경제지식 및 컴퓨터 기반 수단을 적용하며, 문제해결과 팀워크를 수반한다. 그러나 대학에서 공정설계의 교육은 몇 가지 이유로 인해 계속적인 도전과제로 남아 있다. 또 지난 20년 동안 많은 대학원생들이 다양한 제품(휴대전화, 휴대용 신장 기계, 로켓 연료, 신 냉매 등등)의 설계에 깊이 관여하고 있다.
○ 공정설계와 제품설계를 포함하는 공정시스템공학(process system engineering)은 지난 20년 동안 극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미국 카네기 멜론 대학교의 교수인 저자들은 이 글에서 공정설계와 제품설계 교과과정이 화학공학 학생들의 교육에서 공히 기본적이고 핵심적이며, 학생들이 에너지, 지속가능성 및 혁신에의 도전을 경험하도록 하는데 아주 적절하다고 주장한다.
○ 공학교육은 산업과 사회가 필요로 하는 실력을 갖춘 공학기술 인력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새롭고 혁신적인 교육프로그램에 의해 수행되어야 한다. 공학을 전공한 졸업생들은 실제 공학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일할 수 있는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또 엔지니어들은 국제적으로 상호 인정을 받을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필요성과 당위성에서 (사)한국공학교육인증원이 설립되었으며, 우리나라는 2007년 워싱턴 어코드 정회원이 되었다.
○ 공학교육인증원은 각 대학의 공학교육이 워싱턴 어코드에 의한 교육기준에 부합하는지를 평가하여 인증하고 있다. 각 대학은 공학교육혁신센터를 두고, 급변하는 공학교육의 환경에 대처하고 사회와 산업이 요구하는 공학교육의 요구를 반영할 수 있는 공학교육 모델을 연구개발한다. 또 위의 공학교육인증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공학교육과정 평가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연구와 교수 학습방법 개발연구 등을 실시하고 있다. 이 글이 외국의 공학 특히 화학공학교육의 동향을 파악하고 국내 공학교육 선진화 연구에 참고가 되기를 기대한다.
- 저자
- L.T. Biegler, I. E. Grossmann, and A.W. Westerberg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0
- 권(호)
- 56(5)
- 잡지명
- AIChE Journa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120~1125
- 분석자
- 이*용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