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레이저 금속소결 금형에 의한 박육 저압 사출성형

전문가 제언
○ 레이저 금속소결에 의한 금형의 개발 초기에는 낮은 가격으로 짧은 납기에 필요한 금형을 제작할 목적으로 제작?응용되어 사출성형용으로 활용되었다. 이는 금속 분말을 레이저 조사에 의하여 용융?융해?고착 과정을 거친 다음 적층하여 직접 모형을 하나의 공정으로 제조하는 방법으로, 개발 이후 RP(Rapid Prototyping : 쾌속조형) 시스템의 중심 역할을 수행하였다.

○ 이 기술은 최초 개발 이후 금형 용도의 다양화에 따른 전용 기기로의 응용 분야가 넓어졌다. 특히 하나의 프로세스로 조형하는 공정으로 다공질의 소결체를 만들어서 금형 표면의 필요한 장소에 통기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박육(thin material) 부분이나 모서리 부분 등과 같이 충전하기 어려운 곳에도 비교적 저압의 사출성형이 이루어지는 장점이 돋보인다.

○ 레이저 금속소결 금형의 열전도율(thermal conductivity)은 강제 금형의 약 1/3 정도로 낮출 수 있다. 이 낮은 열전도성(thermally conductive) 성질에 의하여 금형 내부에 유입되어 있는 수지의 표면을 급랭할 수 있고 고체화(solidification)되는 속도를 지연시킬 수 있다. 레이저 금속소결 금형이 갖는 이러한 기능 때문에 수지의 유동성이 일반적인 강제 금형의 경우보다 향상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또한 이 금형은 사출성형에 요구되는 압력을 저감할 수 있어서, 사출성형기의 소형화와 에너지 절감도 기대할 수 있다.

○ 최근의 레이저 금속소결 금형은 형상 모델의 범주를 벗어나, 광경화성 수지 재료의 개발 등에도 이 금형의 특징과 기능을 부여하는 용도로 발전되고 있다. 각종 제조업의 발달과 더불어 금형 제품의 다양화와 전용화가 활발하게 이루어질수록 이 금형의 응용범위 또한 크게 넓어질 것이다. 기존의 강제 금형기술과 이 금형기술을 잘 조합시키면 제품의 개발기간 단축과 비용절감에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저자
Takeshi YONEYAM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10
권(호)
76(2)
잡지명
精密工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188~192
분석자
조*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