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폐전기,전자제품의 관리: 세계화 시대에 세계화시대에 생산자책임재활용제의 효용성(WEEE를 대상으로)

전문가 제언
○ 현재 전 세계에서 버려지는 전기전자제품 폐기물 대부분 재활용되지 못하고 매립돼 심각한 환경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따라 세계 각국은 환경보호 차원에서 폐가전 회수 및 처리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선진국의 중고가전제품이 개발도상국에 수출되는 결과 개발도상국에서 문제가 악화되었다. 유럽연합에서는 폐전기,전자제품 처리지침이 발효되어 생산자는 EU역 내에 버려지는 전기,전자제품을 대상으로 마킹 및 회수처리를 의무적으로 이행해야 하며, 일정 의무 재활용률을 달성해야 한다. 또 바젤협약에 의거 폐가전제품의 국가 간 이동은 정부의 엄격한 규제를 받도록 하고 있다.

○ 이 글은 현재 및 장래의 폐 전기,전자제품의 세계적 물동량을 조사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변화방안을 검토하였다. 저자들은 현재의 전 세계에 걸친 저수준 회수에서 지역적으로 고수준의 회수를 추진할 것을 추천하고 있다.

○ 우리나라도 환경부의 전기,전자제품 및 자동차의 자원순환에 관한 법률과 전기전자제품의 재활용의무이행에 관한 업무처리지침에 따라 재활용을 의무화한 폐가전제품 생산자 재활용제가 시행되고 있다. 재활용비율은 가전품 종류별로 다르다. 또 바젤협약에 가입하여 위험 폐기물의 국가 간 이동을 규제함으로써 위험 폐기물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또 환경적으로 건전한 방법으로 관리되도록 도모하고 있다.

○ 환경부는 금년 생산자책임 재활용제도 도입 10년을 맞아 지난 10년의 성과를 분석하고 향후 발전방향을 제시하면서 재활용기술개발 및 재활용산업 활성화, 폐자원 수거?운반체계 효율화 등 7대 추진과제를 선정하였다. 또 대형 판매업체에 폐제품 회수의무(의무비율?의무량)를 부여코자 입법을 추진 중이다.

○ 우리의 재활용 기술수준은 선진국의 60% 수준으로 미흡하다. 재활용기술연구개발에 대한 보고가 많지 않은 실적이다. 정부와 민간 기업 간에 기술개발 역할분담 및 공조체계를 구축하여 재활용 수준이 조속히 선진화되기를 기대한다.
저자
Bastiaan C. J. Zoeteman, Harold R. Krikke, Jan Venselaar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0
권(호)
47
잡지명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Manufacturing 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415~436
분석자
이*용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