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절감과 차세대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기술개발 계획
- 전문가 제언
-
○ 우리 사회에서 정보통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에너지절감화에 기여하고 있으며 실제로 큰 성과를 거두고 있다. 그러나 상대적인 전력증가량에 비하면 정보통신은 과거 수년간 수배로 증가하였다. 즉 통신량이 폭발적으로 증대하여 정보통신분야에서 소비하는 전력은 발전전력량에 심각한 영향을 주고 있다.
○ 근래 광통신 관련 주요국제회의에서 그린 IT, ICT문제를 거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에너지절감을 고려한 네트워크기술, 특히 광 네트워크기술에 대하여도 검토하고 있다. 그러나 한편 고속화되고 있는 네트워크에서의 전력절감화는 앞으로 해결해야할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 네트워크의 고속화와 에너지절감화는 현재 정보통신분야에 부과된 큰 과제이다. 최근 차세대 고효율네트워크 기술개발 계획에서는 디바이스기술요소를 통신서비스 사용에 견딜 수 있는 시스템화를 고려한 연구개발을 수행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검토내용에 대하여 소개하고 있다.
○ 현재 일본에서는 신세대네트워크(NWGN : New Generation Network)를 추진하고 있으며 NWGN의 국제표준화를 위하여 미국, 유럽, 한국, 중국과 연대 협조하여 NWGN을 설계하고 있다. NWGN에서는 초저에너지로 유통이 가능한 그린 네트워크의 필요성을 지적하고 있다.
○ 우리나라에서는 2006년 9월 미래인터넷(FI : Future Internet)포럼이 출범하였으며 서울대, KAIST 등이 참여하여 FI의 구조와 정책, 서비스, 무선 등에 대하여 연구하고 있다.
○ 2007년에는 지식경제부의 지원으로 서울대, KAIST, 포스텍, 충남대 등이 FI핵심기술연구 프로젝트를 시작하였다. 또한 ETRI도 2009년부터 2013년까지 FI원천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삼성도 관련연구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앞으로 IT산업을 선도할 수 있는 FI기술개발이 기대된다.
- 저자
- Tohru ASAM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10
- 권(호)
- 93(8)
- 잡지명
- 電子情報通信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659~663
- 분석자
- 유*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