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오디오 테이프 리코더
- 전문가 제언
-
○ 디지털 오디오 장치는 오디오신호를 부호화로 변환 처리해서 전송, 기록 등을 조작하는 기술을 말한다. 이것의 바탕은 펄스부호변조 기술이다. 펄스부호변조란 표본화, 양자화, 부호화의 세 조작과정을 거쳐 연속적인 신호를 불연속적인 신호(부호열)로 변환 처리하는 것을 말한다. 결국 연속적인 오디오신호는 표본화, 양자화, 부호화의 조작에 의해 PCM부호의 상태로 변환되어서 방송전파로 전송되거나 디스크나 테이프 등 매체에 기록되며, 이것은 다시 원래의 연속적인 파형이 재생되어 청취된다.
○ 디지털 오디오의 하나인 DAT(Digital Audio Tape-recorder)는 1967년경부터 연구 개발되어 1987년에 상품화되었다. DAT는 고정헤드 방식과 회전헤드 방식이 있는데 이 두 방식에는 각각 일정한 규격이 정해져 있다. 두 방식에 공통된 규격은 2채널, 표본화 주파수 48㎑(필수용), 32㎑(옵션용) 및 44.1㎑(재생전용) 및 양자화 비트수 16비트 등이다.
○ 디지털 오디오의 대표적인 매체인 CD는 표본화 주파수 44.1㎑, 양자화 비트수 16비트가 채용되고 있어 고밀도의 정확한 재생이 가능하다. DAT는 CD가 CD-ROM으로 진화한 것과 같이 오디오 녹음 및 재생에서 데이터 기록용으로도 개발되었다. 데이터 기록용으로 Sony사와 HP사가 공동 개발한 DAT의 카트리지를 이용한 DDS(Digital Data Storage)는 고용량, 빠른 전송, 고속탐색 기능 및 고신뢰성을 갖고 있다.
○ 국내 CD, DCC(Digital Audio Cassette) 및 DAT와 같은 디지털 오디오 기술은 대부분 해외기술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DAT는 DDS (Digital Data Storage), 광학디스크 및 VHS 테이프 등의 저장매체를 대체할 수 있는 기술로 DAB(Digital Audio Broadcast) 및 컴퓨터 등의 저장매체로서 응용이 가능한 기술이기 때문에 이것의 장점을 살린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 저자
- Kentaro Odaka, Yoshizumi Inazaw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10
- 권(호)
- 64(4)
- 잡지명
- 映像情報メディア 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482~487
- 분석자
- 박*준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