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중단된 구형 원전의 건설 재개와 신규 원전의 건설 착수
- 전문가 제언
-
○ 미국은 1978년의 TMI 원전사고로 국민의 반대여론에 굴복하여 약 25년간 신규 원전을 건설하지 않았지만 이제는 신규 원전을 처음으로 건설하기 시작하였다. 그동안 원자력산업이 침체한 것은 원전사고의 원인도 있었지만 미국 원전의 가동률이 낮아 경제성에 의문을 준 것도 원인이 되었다. 그러나 끊임없는 개선에 힘입어 2000년부터는 원전 가동률이 가장 높은 국가 중 하나가 되었다. 또한 미국의 경우도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온실가스 감축수단으로 원자력을 채택할 수밖에 없어 현재 30여기의 신규 원전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 이 보고서는 TMI 원전사고와 전력 수요의 증가 둔화로 1980년대에 건설이 중단되었던 미국의 구형 원전인 Watts Bar-2의 건설 재개와 새롭게 건설이 추진되고 있는 신규 원전인 Vogtle-3, 4호기의 건설현황을 요약하여 기술하고 있다. 약 20년 동안 원전을 건설하지 않았던 미국은 원전 건설을 위한 인프라가 부족하여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이를 극복하기 위한 규제 및 공정상의 내용을 담고 있어 향후 미국 원자력산업의 추진방향을 짐작할 수 있다.
○ 1970년대에 Watts Bar-2는 이미 건설허가를 받았기 때문에 과거의 규정대로 건설을 재개하고 있으며, 많은 건설자재들이 현장에 그대로 보관되어 있어 전반적으로 공사비가 절약될 뿐만 아니라 동일 원자로인 Watts Bar-1가 미국 내에서 7번째로 가동률이 높은 발전소이므로 2호기의 향후 실적도 기대된다고 하겠다. 전력회사인 TVA는 중단된 또 다른 원전의 재시공(Bellefonte 원전)을 준비하고 있어 향후 귀추가 주목된다.
○ 미국은 인허가 규정에서 설계인증 제도(DC: Design Certificate)를 운용하고 있는 나라이다. 설계인증을 받게 되면 건설-운전 통합인허가(COL) 발급 이전이라도 제한공사 승인(LWA)을 받아 사전공사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신규 원전 AP1000의 모듈 공법은 중장물을 원자로 밖에서 조립하여 설치하는 방법으로 공기 단축방안이 될 수 있다. 원전 건설에서 원자력규제위원회(NRC)의 규제는 단순화되었지만 건설을 위한 ITAAC 절차를 충족해야 하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 저자
- E. MICHAEL BLAKE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0
- 권(호)
- 53(7)
- 잡지명
- Nuclear N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50~56
- 분석자
- 이*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