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식품안전관리시스템 ISO22000 도입의 동향

전문가 제언
?전문가 제언?

○ 식품산업에서는 지금까지 사고대책의 중심적 문제로, 주로 미생물에 대한 대책을 세워, 대단한 성과를 올리고 있지만, 식(植)의 안전의 범위가 확대되고 있는 지금, 이전에는 큰 문제로 되지 않았던 이물·이취나 표시의 오기, 부적절한 표시까지도 제품회수의 대상으로 되고 있어, 식품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기업은 광범위한 대책·대응을 마련하지 않으면 안 돼는 중요한 시점에 놓여 있다.

○ 식품업계는 제조품목이나 기업규모, 사업형태도 각양각색이고, 종업원의 교육수준과 현장에서 안고 있는 문제도 하나같지만은 않다. ISO22000은 식(食)의 안전을 확보하기위하여 만들어진 국제규격이 아니고, 행정지도나 유통에서의 거래조건으로 반드시 해야만 된다고 한 것도 아니다. 종래의 HACCP이나 ISO9001에서 바뀌어져 ISO22000로 된 것도 아니어서, 국내식품회사들이 식품안전관리시스템인 ISO22000 인증 취득의 움직임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 안전한 식품관리를 위해서는, 식품업계는 제조품목이나 사업형태에 따라서 ISO9001이든가, ISO92000 이든가, 또는 HACCP 시스템이든가를 각사가 신중한 판단으로 자사에 적합한 실효성이 있는 시스템 도입을 해야만 하는데, 자사에 적합한 시스템을 도입하기 까지는 현장의 실태를 잘 파악하고 있는 컨설턴트의 존재가 중요하기 때문에, 이에 필요한 식품안전관리시스템 전문가 양성을 위한 노력을 국가적인 차원에서 서둘러야 할 것이다.

○ 일본에서는, ISO발행 이전부터 HACCP의 단독심사 외에, ISO9001과 HACCP의 통합심사를 진행하여, 식품의 안전과 품질의 두 가지를 고려한 시스템의 심사를 하고 있고, ISO22000에 대해서도 적극적인 대응 전략을 마련하여, 2010년 1월까지로 JAB 인정에서 25건의 인증등록을 하고 있다. 우리도 ISO22000와 같은 식품안전관리시스템(FSMS)에 보다 적극적인 자세로 임해야 될 것이다.

저자
Editorial department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0
권(호)
45(4)
잡지명
食品と開發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25~29
분석자
정*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