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암과 염증
- 전문가 제언
-
○ 암의 발생요인으로서는 여러 가지 외적인 환경요인이나 또는 내적인 요인이 지적되고는 있으나 감염증이나 어떠한 자극으로 인하여 만성염증으로 관계되어 발증하는 암의 비율은 암 발생전체의 15~25%를 점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 소화기계의 장관에 있어서 만성적인 염증으로서는 궤양성대장염이나 크론병(Crohn's disease)등의 염증성인 장관질환 이외에도 생활습관병(내장지방)으로 인한 지방세포 및 지방조직의 여러 가지 지방 사이토킨(Adipocytokine)으로 인한 전신적 및 국소적인 만성염증이 근래에 와서 주목되고 있다.
○ 장기적인 염증의 존재가 대장암의 리스크를 상승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염증에 관련된 암의 발생에 있어서의 주요한 메디에이타 (Mediators)로서는 NF-κB, 활성산소 및 질소, Cytokine, Prostaglandin 그 이외에도 최근에는 microRNA의 관여도 지적되고 있다.
○ 본 논문에 의하면 최근, Okawa등의 연구에서 발견된 것으로 B세포림프종에서 NF-κB의 내인성의 방해분자인 A20의 유전자영역이 고율로 결실되고 있는 것을 발견하고, A20의 결손으로 인하여 NF-κB가 항상적인 활성화가 병인의 원인이라는 연구결과를 얻게 되었다.
○ 고형암에 있어서의 A20유전자의 관여에 관해서는 아직까지 연구결과가 밝혀져 있지 않으나 MicroRNA를 포함하여 NF-κB 시그널경로에 대한 negative의 통제인자가 염증 및 암과의 관련성이 매우 중요하게 지적되고 있으므로 이점에 관해서 우리나라 관련연구진이 보다 분자생물학적으로 상세한 연구와 검토가 요구되며 이를 규명함으로서 만성적인 염증이 세포에 어떠한 항상적인 이상을 가져오는지를 밝히게 됨으로서 염증 및 암과의 관련성이 명확하게 규명 될 것으로 생각된다.
- 저자
- Hitoshi Nakagam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0
- 권(호)
- 29(8)
- 잡지명
- 細胞工學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782~787
- 분석자
- 최*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