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컴퓨팅 기술개발 동향
- 전문가 제언
-
○ 2006년 미국 Amazon에서 컴퓨터 하드웨어 자원을 온라인으로 대여하는 사업이 시작된 이후 현재까지 많은 클라우드 컴퓨팅의 개념과 정의가 소개되고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인터넷 기술을 활용하여 정보통신 자원을 서비스로 제공하는 컴퓨팅으로서, 정보통신 자원(소프트웨어, 스토리지, 서버, 네트워크 등)을 필요한 만큼 대여하여 사용하고, 서비스 부하에 따라 실시간 확장성을 지원받으며, 사용한 만큼의 비용을 지불하는 컴퓨팅이다.
○ 클라우드 컴퓨팅은 장점과 함께 단점도 제기되고 있다. 기업의 기술과 서비스의 독점 및 종속성에 대한 문제점, 클라우드 컴퓨팅의 보안문제 등이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기술과 서비스의 표준화가 시급하기 때문에 현재 클라우드 컴퓨팅 표준화 기구가 설립되어 표준화작업을 추진하고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새로운 비즈니스로 관심을 모으고 있으며, 기업체의 정보통신 기반과 사회기반 자체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 클라우드 컴퓨팅 분야는 개념정립과 동시에 제품이 출시되고 있기 때문에 제품간의 상호 호환성, 이식성, 보안성 등에 대한 문제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클라우드 컴퓨팅의 국제표준화가 시급한 실정이다.
○ 우리나라에서는 클라우드 컴퓨팅의 국제표준화를 위해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 중심이 되어 국제표준화를 준비하고 있으며,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시장수요에 기반한 표준을 검토, 개발하고 있다. 국제표준 제정의 시급성을 감안할 때 국제표준화 작업이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 저자
- A. Gotou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0
- 권(호)
- 22(4)
- 잡지명
- NTT技術ジャ-ナル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34~38
- 분석자
- 장*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