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고효율 다단 핫스탬핑 기술

전문가 제언
○ 핫스탬핑(hot stamping) 기술은 고강도가 요구되는 자동차 부품에 부분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이 기술은 1975년 스웨덴의 SAAB Hardtech사에 의하여 개발된 이후, 도어빔(door beam)과 범퍼빔(bumper beam)과 같은 차체 부품에는 1990년대 후반부터 적용되기 시작되었고, 최근에 이르러 이 기술이 자동차 산업에서 경쟁력 있고 기술적 잠재력이 큰 것으로 입증되면서 활용과 응용이 급속으로 늘고 있다.

○ 핫스탬핑 기술은 기본적으로 열간 성형과 재료의 경화 과정이 한 공정으로 결합된 형태이며, 이 보고서에서 소개하고 있는 다단 핫스탬핑 기술은 주로 열간 성형과정을 다단으로 시행하여 효율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 오스테나이트(austenite)화 열처리(900~950℃, 약 10분)를 거친 후 가열된 블랭크 소재를 가능한 빠르게 금형으로 이송하여 스탬핑 성형을 다단으로 시행한다. 생산성 향상을 꾀할 목적으로 부품의 형상을 정비한 다음 스탬핑 가공이나 구멍 넓힘 가공을 시행할 수 있으면서도, 다단 가공이 가능한 새로운 핫스탬핑 기술을 긍정적인 결과의 실험 결과와 함께 제안하였다.

○ 스탬핑 성형시에 블랭크 소재가 냉각 장치에서 수냉되면서 빠른 속도로 성형되도록 한 다음, 그대로 남겨 놓으면 높은 인장장도를 가진 마르텐사이트(martensite) 제품이 완성되며, 이를 다시 레이저 가공을 수행하여 최종 제품을 제작한다.

○ 자동차 선진국인 우리나라에도 현재 핫스탬핑 기술이 제한적으로 활용?응용되고 있다. 핫스탬핑 기술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강판 부품은 강도가 아주 높기 때문에 항복강도(yield strength)를 밀도(density)로 나눈 비강도(specific strength) 면에서 아주 우수하다. 따라서 자동차의 중량 감소와 안전화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음은 물론, 높은 비강도가 요구되는 풍력이나 수력 설비 부품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연구가 우리나라에서도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저자
Takehide SENUM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10
권(호)
51(594)
잡지명
塑性と加工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680~684
분석자
조*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