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비디오 아노테이션의 현황과 과제
- 전문가 제언
-
○ 비디오 아노테이션(Annotation/주석)은 동영상에서 유저의 이해를 돕기 위해 콘텐츠에 각종 디지털 정보를 제공하고 동영상 주석에 대화형 해설을 추가할 수 있는 서비스로써, 비디오 장면에 부가된 텍스트 해설이 검색에도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효율적인 영상 검색과 동영상의 축약을 위하여 동영상에서 의미정보를 추출하여 아노테이션 하는 작업이 선행된다.
○ 인터넷과 디지털 멀티미디어의 발달은 인터넷상에 개인이 만든 UCC 동영상과 다양한 매체로부터 생성된 동영상의 폭발적인 증가를 불러왔다.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동영상 가운데 원하는 영상을 찾으려는 필요성과 동영상 축약에 대한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증대되어 왔다. 동영상의 의미정보는 영상 개체들의 단순정보를 추출하는 방식과 개체들이 만들어 내는 상황정보를 추출하는 방식으로 구분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비디오 아노테이션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기존 콘텐츠의 소비 역할을 했던 대중들이 손쉽게 콘텐츠를 제작하고 향유할 수 있게 되었다. 최근, 악의적인 목적을 가진 사용자들의 조작에 쉽게 노출되는 문제가 새로운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우리 연구진에서는 이러한 악의적 공격에 대해 공격유형을 분석해서 악의적인 사용자가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신뢰모델 구축과 신뢰할 수 있는 아이템 추천 및 선호도 예측방법 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 삼성전자에서 국내에서 처음으로 W3C 산하 ‘Media Annotation 워킹 그룹’ 초대 의장이 선출되었다. 인터넷 동영상의 메타데이터를 표준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된 워킹 그룹으로 메타데이터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동영상을 쉽게 검색하고 자신이 만든 동영상을 다른 사용자가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설명을 추가할 수 있다. 이를 계기로 Media Annotation 워킹 그룹의 국내에서 개발된 표준이 세계 표준으로 확립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 저자
- Katashi Nagao, Shigeki Ohira, Daisuke Yamamoto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0
- 권(호)
- 64(2)
- 잡지명
- 映像情報メディア 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173~177
- 분석자
- 홍*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