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전화용 미디어 프로세서의 저 소비전력화 동향
- 전문가 제언
-
○ 최근 방송통신 융합기술이 진전되면서 IPTV나 스마트 폰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아날로그 방송에서 지상 디지털방송으로의 전환이 세계적인 추세가 되면서 풀 HD영상이 요구되고, 또한 3D영상이 이미 시판되고 있는 실정이다. 더구나 2009년에는 HD화질의 영상을 기록, 재생할 수 있는 단말기가 상품화되고, 박형 TV나 Blu-ray 디스크 등의 디지털 AV기기는 풀 HD가 표준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 휴대전화기의 경우에는 HD영상을 배터리로 구동하는 경우 소비전력이 문제가 되고 있다. 또한 휴대전화기의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는 SoC (System on Chip) 프로세서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실시간 처리를 위해 높은 연산성능, 낮은 소비전력과 고도의 유연성이 요구된다. 휴대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는 다양한 표준의 비디오, 오디오, 이미지 인코딩/디코딩 데이터를 의미하고 특히 휴대 단말용 멀티미디어 SoC에서 소비전력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 SoC와 같은 반도체 집적회로에서 소비전력은 정지전력(static power)과 동작전력(dynamic power)의 합계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정지전력은 누설전류와 전원전압에 비례하여 증가하기 때문에 누설전류를 줄이거나 전원전압을 낮춰야 한다. 동작전력은 전원전압의 2승 및 스위칭 주파수에 비례한다. 따라서 전원전압과 주파수를 줄이는 것이 관건이 된다. 따라서 SoC에서 전력소비를 줄이기 위한 요소기술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 국내의 경우, 우위를 점유하고 있는 IT 및 반도체기술에 힘입어 삼성전자, LG 등에서 최근 스마트 폰을 속속 출시하고 있으며 여기에 적용되는 멀티미디어 프로세서도 새로운 기술을 응용하여 소비전력 저감이나 그린 IT화에 부응하고 있는 실정이다. 삼성전자는 지난해에 스마트 폰 시장의 급속한 성장에 힘입어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시장(세계 시장점유율 39.2%)을 제패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반도체가 65㎚ 공정세대 이후 전원전압이 더 떨어지지 않음과 또, 처리능력 향상은 동작주파수 상승을 가져오는 문제 등에 대해 더욱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 저자
- Kenichi Iwat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0
- 권(호)
- 64(4)
- 잡지명
- 映像情報メディア 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488~494
- 분석자
- 박*준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