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전계통신의 모델화 및 통신품질 평가

전문가 제언
○ 인체 주위의 전계통신은 주위 환경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잡음의 영향을 받기 쉬우며 전계통신의 성능은 이용형태와 설치환경에 따라 좌우된다. 안정된 통신형태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인체, 송수신기, 전극, 케이블 등으로 구성되는 통신로를 이용형태에 따라 모델화하고, 회로설계 과정에서 최적화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 전계통신 시스템을 평가할 때 단말기와 계측기를 연결하는 대지의 접지상태, 계측기와 계측대상물을 분리시키는 계측기술 등이 중요하다. 보다 효과적인 계측기술로 광기술을 이용한 계측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전계통신 품질평가 시스템을 구성할 때 계측기와 계측대상물을 전기적으로 정확하게 분리시킬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전계통신의 모델화 및 통신품질 평가기술을 고찰하였다.

○ 전계통신 기술은 3개의 기능적 특징을 갖고 있다. 즉, (1) 자연적 동작에 의해 통신을 시작하며, (2) 고속, 양방향, 동시사용 환경에서 최대 10Mbps급 전송속도를 실현하고, (3) 도전체, 유전체 등 소재가 전송로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 전계통신 기술은 안심, 안전, 편리성 등을 향상시키는 기술로서 교통시스템, 의료 및 헬스케어 시스템, 공공시스템, 엔터테인먼트(entertain -ment)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이 기술은 새로운 휴먼 에어리어 네트워크(HAN: Human Area Network)를 실현하고 새로운 비즈니스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우리나라에서는 이 기술과 유사한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인체 내부 또는 인체 간의 통신을 위한 WBAN(Wireless Body Area Network)의 전송방식, 응용 프로파일의 표준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PAN(Personal Area Network)과 함께 WBAN의 연구개발이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저자
A.Sasaki,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전기·전자
연도
2010
권(호)
22(1)
잡지명
NTT技術ジャ-ナル
과학기술
표준분류
전기·전자
페이지
23~27
분석자
장*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