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Alzheimer병과 염증

전문가 제언
○ 알츠하이머병(Alzheimer Disease : AD)은 노인성 인지증으로 인한 주요한 원인질환으로서 점진적인 사회의 고령화에 따라서 환자수가 급격히 증가되고는 있으나 이의 적합한 치료법의 확립과 치료제의 개발은 아직은 이루어지지 않아 매우 시급한 사항으로 여러 나라에서 관심을 기울여 연구 및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 세계 각국에서 신약 후보로서 임상시험에 들어가고는 있으나 아직까지 AD의 근본적인 치료약은 개발되지 않고 있으며 현재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의약품은 대증적인 요법의 치료제인 것으로, 본 논문에서 소개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염증과 AD관계의 메커니즘이 어느 정도 규명된 것으로 이를 결부시켜 신약치료제 개발에 관심 갖기를 기대한다.

○ AD 환자의 뇌에서는 염증반응의 항진이 관찰되며 염증이 알츠하이머병의 진행에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하게 된다. 따라서 in vitro, in vivo에 있어서의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며 염증반응 병태의 진행을 촉진한다는 보고와 억제한다는 보고도 있으며 따라서 염증은 양면성을 가지고 알츠하이머병의 진행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염증관련 인자의 유전자 다형과 AD의 발증 리스크에 관해서 여러 가지 역학적인 조사로서 이룩하게 된 결과로 IL-1β(Interleukin-1β), IL-6(Interleukin-6), IL-10(Interleukin-10) 등의 Cytokine이나 Chemokine수용체인 CCR(Chemokine CC motif receptor) 등에 관해서 그의 유전자 다형으로 인하여 AD의 발증 리스크가 상승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 염증관련 인자가 AD에 대해서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지를 조사 및 분석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유전자전환 마우스를 사용해서 해석을 수행하고 있으며 염증을 목표로 한 AD 치료약의 개발에도 진전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이와 같은 연구의 성과를 바탕으로 하여 우리나라 산·학·연 기관에서 관심가진 분들의 상호협력으로 AD 치료약에 관한 신약연구 개발에 보다 관심을 갖고 추진함으로서 좋은 성과를 기대할 수 있으리라 믿는다.
저자
Tatsuya Hoshin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0
권(호)
29(8)
잡지명
細胞工學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777~781
분석자
최*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