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ISP에서 NAT 도입에 따른 이용자 영향 평가

전문가 제언
○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는 IP(Internet Protocol) 어드레스를 별도의 IP 어드레스로 변환하는 것이며, 주로 프라이비트 네트워크 환경의 호스트에서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해 이용되고 있다.

○ 인터넷에서는 접속되는 모든 라우터와 호스트에 각각 IP 어드레스를 할당하고 있다. 그러나 인터넷에 접속된 호스트가 급증함에 따라 IP 어드레스의 고갈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로컬 네트워크 내에 있는 호스트에는 프라이비트 IP 어드레스를 할당하여 인터넷에 접속할 때만 글로벌 IP 어드레스를 사용하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 최근의 예측에 따르면 2010년경 IP 어드레스가 고갈상태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네트워크 어드레스 변환기술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ADSL(Asynchronous Digital Subscriber Line)과 FTTH(Fiber To The Home)에서 이용되는 브로드밴드 라우터에서는 네트워크 어드레스 변환기능을 갖고 있다.

○ 최근 프라이비트 IP 어드레스와 글로벌 IP 어드레스의 변환뿐만 아니라 포트 번호도 변환시킬 수 있는 NAPT(Network Adress Port Translation)도 개발되었다. NAPT를 이용함으로써 IP 어드레스뿐만 아니라 포트 번호의 식별 및 변환을 실현하고, 필요한 글로벌 어드레스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 네트워크 어드레스 변환과정에서 보안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NAT의 도입에 따른 이용자 영향평가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미국, 일본 등의 국가에서 개발되고 있는 평가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우리나라에서도 이에 관한 연구개발이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저자
Y. Hei, T. Ogishi, S. Katsun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0
권(호)
93(6)
잡지명
電子情報通信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473~478
분석자
장*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