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박판 선체용접부의 변형교정

전문가 제언
○ 용접은 국부적으로 급열, 급냉 과정을 동반하기 때문에 용접 시공 시 용접변형, 수축 및 용접 잔류응력이 발생한다. 용접에 의한 변형의 발생 형태는 용접 구조물의 형상이나 냉각속도, 용접순서 및 용접기법 등의 각종 조건에 의해 여러 가지 형태로 변화한다. 이와 같이 발생하는 용접변형은 용접구조물의 제작 시 여러 가지 장애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그 구조물의 사용 중에 있어서도 파괴의 발생 및 파괴의 진전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하여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따라서 박판재를 사용하는 선박구조물의 용접변형을 효과적으로 교정하는 기술개발이 필수적이다.

○ 용접변형은 면내 변형인 수축변형(shrinkage deformation)과 면외 변형인 각변형(angular distortion)으로 발생하여 용접구조물의 품질을 저하시키므로 주의해야 한다. 특히 박판구조물에서 용접선 방향의 수축하중이 용접부의 좌굴강도를 초과하면 좌굴 변형(buckling distortion)이 발생하여 박판이 주를 이루는 카페리, 크루즈 등의 건조 시 교정작업이 어려우며 교정 후에도 치수변화 등과 같은 문제를 일으키므로 용접 시 변형을 방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 박판재 구조물에 발생한 용접변형은 가열단계에서 열팽창에 의해 압축소성변형을 유도하고 냉각단계에서 길이 방향의 탄성수축이 일어나도록 하는 국부가열 교정이 효율적인 방법이다.

○ 용접변형 교정 작업은 생산성 저하는 물론 재료의 성질을 열화시키므로 용접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저입열 용접공법 등을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 지난 10년간 대한용접접합학회지에 발표된 용접변형에 관한 논문은 모두 17편으로 연구개발이 매우 저조한 실정이다. 이제 세계적인 조선업계와 IT산업의 선두주자인 우리나라는 IT기술과 접목된 변형방지 및 교정기술의 개발을 통해 조선, 원자력발전소 등을 포함한 중화학산업이 용접구조물에 대한 변형방지 및 교정 작업을 체계적이고 합리적으로 구축할 필요가 있다.
저자
N. A. McPherson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0
권(호)
89(1)
잡지명
Welding Journal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30~34
분석자
김*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