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연료를 사용하는 개도국의 도로운송부문 배출경감
- 전문가 제언
-
?전문가 제언?
○ 최근 전지구적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는 환경오염과 에너지 문제에 대한 검토는 우리 모두가 안고 있는 과제를 풀어 나가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큰 의의를 갖는다. 본 레뷰에서는 대기오염이 심각해 가고 있는 중국, 인도, 필리핀 등 개발도상국의 대기오염 실태와 이들 나라에서 바이오연료의 사용 및 생산현황을 소개하고 있어 해당분야 관계자 뿐만 아니라 일반인에게도 흥미와 관심을 끄는 자료라고 생각한다.
○ 본 리뷰에서는, 배기가스 배출차량에서 나오는 각종 유해성분 즉, CO, NOx, HC, O3, Pb, 다이옥신 및 포름알데히드 등이 인체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증상항목별로 소개하고 있다. 이들 유해 배출가스는 대도시를중심으로 빠른 속도로 확산되고 있어 이들 가스가 유해기준치 이하로 유지될 수 있도록 점검조치 하는 일이 긴요하다고 생각된다.
○ 현재 무공해 대체에너지로 큰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바이오연료 는 종래의 천연가스나 휘발유등과 비교하여 경제성 및 효율성이 개선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바이오 연료 작물의 경작에 따른 환경훼손등도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 바이오 연료 생산국들의 분포가 현재 동남아와 남미 일부에 치우쳐져 있는데 선진국에서도 의도적으로 바이오연료 물질의 공급 및 생산에 적극 참여해야할 것이다.
○ 국내에서도 녹색에너지원인 바이오 디젤과 바이오 에타놀 개발을 위한 노력이 비앤비 에너지(주), 퓨넥스(주) 등의 회사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앞으로 선진국 수준의 성과가 기대된다.
○ 1992년 6월 리우환경회의에서와 2005년 교토의정서에서 환경보전 및 온실가스에 대한 선언이 채택된 이후 이에대한 세계적 관심이 높아진 바 있다. 앞으로 이와같은 포괄적인 선언에서 보다 구체적인 환경규제에 관한 국제회의가 활성화 되었으면 한다.
- 저자
- A.M.Liaquat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0
- 권(호)
- 44
- 잡지명
- Atmospheric Environmen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3869~3877
- 분석자
- 이*동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