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구조를 기반으로 한 항박테리아 약품개발

전문가 제언
○ SBDD를 이용하여 학문적으로 연구를 진행하는 국내학자들은 거의 없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그러나 국제적으로도 이 분야에서 학문적으로 연구하는 사람들은 많지 않다. 앞으로 주요 제약회사에서 신약개발에 이 SBDD는 적극적으로 사용될 것으로 믿는다.

○ 우리나라가 단백질의 구조연구에 상당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고 대기업들이 바이오산업에 투자를 하고자 하는 시점에서 이 분야를 선택하여 지원하면 상승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이 분야의 software 발전에도 관심을 둘 필요가 있다.

○ SBDD를 신약개발에 사용하면 분명히 성공 확률이 높아진다. 신약개발 관련 기관은 이 분야의 발전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컴퓨터 상에서 약을 디자인하고 활성을 검증하여 최종적으로 신약을 만들고 실험적으로 검증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우리와 같은 IT 강국이 추구해야 할 중요한 분야이다.

○ 수많은 화합물들을 일일이 고효율 탐색(HTS)만으로 활성을 측정하여 검색하는 방법은 시대착오적인 일이며 불가피한 경우에만 쓰도록 하여야 한다.

○ 연구실의 분위기도 바꿔야 한다. 밤새워 많은 실험을 하는 시대는 갔기 때문이다. 컴퓨터에서 계획하고 검색하고 디자인하고 디자인을 검증하고 검증된 것을 가지고 다시 검색하여 후보를 찾은 후 합성하고 시험하는 단계로 일의 양을 줄이고 머리를 더 많이 쓰는 연구실이 되어야 한다.

○ SBDD는 중고등학교 융합과학의 내용으로도 적합하다고 생각되며 과학을 기피하는 현대의 젊은이들에게 좋은 길잡이 역할을 하는 분야가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이 분야를 공부해 보면 자신이 software 개발, 합성화학, 신약 디자인, 생화학 등 어떤 분야로 전문성을 기를 것인지 판단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저자
Katie J. Simmons, Ian Chopra Colin, W. G. Fishwick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0
권(호)
8
잡지명
Nature Reviews Microbi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501~510
분석자
김*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