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자원 처리를 위하여 배관망을 통해 합성가스를 수송하는 소형분배가스화 유닛
- 전문가 제언
-
○ 이 발명은 일반적으로 생물자원 처리를 위한 시스템과 관련된다. 특히 생물자원 가스화를 위한 소형분배가스화 유닛의 사용과 생산된 합성가스는 배관망을 통하여 수송하는 내용과도 관련된다. 다양한 이유로 최근 바이오연료 생산에 대한 관심이 점점 더 집중되고 있다. 바이오연료는 재생 가능하고 연소 시 덜 배출된다. 바이오연료의 첫 번째 세대 공급 원료는 설탕, 전분, 야채 유 및 동물 지방을 포함했다. 바이오연료의 두 번째 세대 또는 다음 세대의 공급 원료는 근본적으로 비식용 농작물과 스위치그라스, 농업폐기물과 산림잔류물 등이다.
○ 바이오연료의 수요 증가에 맞추기 위하여 다음 세대의 바이오연료를 제조하기 위한 기술이 연구되어 왔다. 이 도전에 대한 한 가지 해법은 공정의 생물자원을 액체 바이오오일로 전환하는 열분해기술의 사용이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은 생물자원을 바이오오일로 전환하기 위하여 소형, 분배형 및 이동형 열분해 유닛을 사용하는 것이다. 그렇지만 이 바이오오일의 산성 때문에 열분해 유닛의 바이오오일은 기존의 기본설비를 손상시키므로 배관 수송이 적합하지 않다. 또한 저온에서의 유동성은 높은 점도 때문에 아직은 문제가 야기된다.
○ 합성가스는 공기보다 가볍기 때문에 누출되면 확산될 가능성이 있다. 더욱이 이산화탄소는 부분적인 가열/자연발화의 문제가 생긴다. 가스화의 위치에서 WGS 반응을 실행하는 데 대한 대안으로서는 합성가스의 불순물 또는 수분을 제거한 다음에 배관망을 통하여 수송하는 방법이다. 불순물과 수분은 EIGA와 같은 배관망 수송을 위한 적용지침에 따라서 제거할 수 있다. 더욱이 황화수소, 재 및 수분에 의한 부식과 같은 문제를 최소로 하기 위하여 합성가스를 배관망에 주입하기 전에 이러한 유해물질들을 제거하여야 한다.
○ 이렇게 생물자원을 바이오오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소형분배가스화 유닛을 사용하고 배관망을 통하여 중앙 연료생산시설로 수송하는 체계를 확립했다. 한국에서도 세계적인 기술에 발맞추어 독자적인 기술의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 저자
- TEXACO DEVELOPMENT CORPORATION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0
- 권(호)
- WO20100077950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4
- 분석자
- 김*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