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를 개척하는 광촉매의 최신 기술
- 전문가 제언
-
○ 전 세계 광촉매 시장을 선도하는 일본은 산관학 협력 등을 통한 혁신적인 기술개발과 함께 표준화에서도 주도권을 잡기위해 많은 노력 중이다. 최근 고농도의 난분해성 화합물도 신속히 분해하는 전기분해 처리와 이어지는 광촉매 반응에 의한 수질 정화 시스템이 개발되어 수중에서의 기존 광촉매 시스템의 분해효율 저하를 극복했다. 산화티탄과 산화텅스텐 광촉매 혹은 수산화니켈을 복합화 하여 야간에도 구동 가능한 에너지 저장형 광촉매도 보고되었다. 이산화티탄 광촉매에 의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3시간 만에 완전 분해하며 20회의 드라이클리닝 뒤에도 효과가 지속되는 '인플루엔자 백신 정장'이 2009년 10월 일본 전역에 출시되었다.
○ 우리나라는 고효율 광촉매기술 개발을 2001년부터 추진 중인 환경부의 차세대 핵심환경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추진 중이다. 한편 특허청에 따르면 지난 1997~2008년 광촉매를 공기정화 필터에 응용한 출원건수는 115건이다. 이중 2003년부터 최근 5년간 출원 건수가 66건으로 매년 꾸준히 출원되고 있으며 내국인의 출원도 2002년 이후 증가했다. 이 중 광촉매 필터를 융합한 처리방식의 출원 비율은 광촉매 특성을 활용한 필터방식이 전체의 77%였다. 앞으로 새로운 필터 또는 고효율의 공기정화방식이 개발되기 전까지는 광촉매 필터를 포함한 복합필터 방식이 공기청정기 시장을 주도할 것이다.
○ 이 보고서는 최근 환경문제의 심각화나 새집증후군 등 생활환경에서의 새로운 문제의 발생에 따라 급성장 중인 외장재 및 정화기기 분야에서 선구적인 일본의 광촉매 기술의 최신동향으로서 관련 분야 기술 확보에 필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환경 및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은 현대사회에서 광 에너지에 의한 환경정화기술은 이상적이다. 현 단계에서는 특히 가시광 응답형 및 에너지 저장형 광촉매, 약물치료에 의한 바이러스의 내성 증가 대응형 광촉매를 활용한 살균 항균에 대한 연구가 향후 쾌적한 사회환경 조성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 저자
- Tsuyoshi Ochiai, Kazuya Nakata, Taketoshi Murakami, Akira Fujishima, Yuhko Morito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0
- 권(호)
- 58(8)
- 잡지명
- 工業材料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8~22
- 분석자
- 조*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