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향상된 접착 층을 가진 에어백용 폴리올레핀 필름

전문가 제언
○ 에어백은 차량이 사고발생 시 승객을 구속하여 보호하는 안전장치이다. 초기에는 운전석 위주로 설치되었으나 지금은 조수석을 포함하여 측면에어백, 커튼 에어백까지 장착되고 있다. 에어백도 발전을 거듭하여 1세대 SRS 에어백(Supplemental Restraint System airbag), 2세대 디파워드 에어백(Depowered airbag), 3세대 스마트 에어백(Smart airbag), 4세대 어드밴스드 에어백(Advanced airbag)으로 발전하였다.

○ 에어백은 필름을 붙인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등의 직물과 사고발생 시 기체를 발생하는 장치와 센서로 구성되어 있다. 에어백은 감아져서 자동차에 장착되어 하절기에는 70℃이상의 고온과 겨울에는 영하 수 십도의 저온에서 장기간 방치되었다가 사고발생 시 순간적으로 펼쳐져야 하기 때문에 요구물성이 까다로운 제품이다.

○ 본 발명은 에어백용 직물에 접합시킬 수 있는 폴리올레핀 필름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폴리올레핀 공중합체에 Maleic anhydride를 그래프트 시킨 고분자를 접착 층으로 폴리올레핀을 배리어 층으로 가진 폴리올레핀 필름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에어백에 접착시킬 수 있는 필름은 신뢰성 평가 등이 까다로워 승인을 받기가 쉽지 않은 제품이다.

○ 본 발명의 에어백용 폴리올레핀 필름은 에어백 주요 소비국인 유럽에서 개발되었으나 종래의 접착용 폴리올레핀용 필름과 크게 다르다고 할 수는 없다. 그러나 자동차용 에어백이라는 용도를 타깃으로 하여 취득한 특허로서 향후 기술에 의한 무역장벽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있다.

○ 국내에서도 자동차용 에어백이 생산되어 자동차에 장착되어 수출되고 있다. 국내용 자동차에도 에어백 장착이 늘어나고 자동차 수출이 늘어남에 따라 에어백의 수요는 계속 증가될 전망이다. 에어백용 섬유, 직물, 고분자필름 등 모든 소재의 최초개발은 모두 선진국이다. 한국이 명실상부한 선진국이 되기 위해서는 기초소재들의 세계 최초개발이 필요하다. 소재의 최초개발을 위해서는 소재 디자인에서부터 용도개발 및 최종제품까지 총합적인 개발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장기계획 하에 체계적인 시스템 구축이 절실하다.
저자
Dow Global Technologies Inc.
자료유형
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0
권(호)
WO20100042335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35
분석자
박*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