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나노섬유의 모포로지 제어기술

전문가 제언
○ 나노섬유는 직경이 나노 오더(order)의 섬유(나노사이즈 섬유) 또는 굵기에 상관없이 섬유의 표면이나 내부구조가 나노 오더로 제어된 섬유상 물질(나노구조 섬유)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중 나노사이즈 섬유를 보통 나노섬유라 부르고 있다. 굵기가 종래의 섬유에 비하여 1,000분의 1 이하로 아주 가늘기 때문에 섬유 표면 거의 전부가 공기에 접하고 있게 되어 섬유 물성이 종래의 섬유와는 아주 다르다.

○ 본 문헌에서는 여러 가지의 나노섬유 기술 가운데 전계방사(electrospinning)법을 택하여 나노섬유의 모포로지(morphology) 제어기술, 나노섬유의 구조와 물성에 대하여 소개하고 있다.

○ 지난 10년간 전계방사는 특수 공정에서 섬유형성 기술로 널리 사용되는 방법으로 등장해 오고 있다. 고분자 용액이나 용융물에 강한 전위(electric potential)를 걸어 나노스케일의 섬유를 만든다. 이 나노섬유는 부직포 직물 매트, 배향 섬유 집합체 및 3차원 구조 지지체를 형성한다. 모두 큰 표면적과 높은 공극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전계방사로 얻어진 분리막(membrane)의 주요 용도는 생체조직공학, 약물 조절 전달, 센서, 분리, 필터, 촉매, 나노와이어 등이다.

○ 마이크론 이하의 섬유고분자 전계방사는 최근 10년간 연구와 상업적으로 엄청나게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전계방사”에 대해 문헌조사를 하면 최근 10년 사이에 연구 활동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대부분의 문헌자료와 특허에서 전계방사 섬유는 가공이 쉽고 경제적이고 실험실에서 공업화로 쉽게 갈 수 있는 것처럼 언급하고 있다.

○ 한국에서도 많은 기업이 관심을 갖고 있으나 실제적인 연구개발과 공업화는 아직 미국 및 일본 등에 비하면 부족한 편이다. 이렇게 공업화가 지지부진한 점에서 의문이 제기된다. 과연 전계방사 섬유는 기존의 용융방사나 용액방사 섬유와 비교하여 어느 분야에서 경쟁력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것일까에 대하여 신중한 판단이 필요하다.
저자
Kotaki Masay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0
권(호)
45(6)
잡지명
加工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351~356
분석자
이*동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