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소화 고성능 고분자
- 전문가 제언
-
○ 고분자에 불소를 도입함으로써 고분자의 몇 가지 특성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고분자의 불소 도입이 활발히 연구되어 왔다. 불소화 그룹을 함유한 고분자는 그의 비불소화 상대 고분자에 비하여 유기 용매에 대한 용해성, 낮은 유전상수와 흡수율, 높은 열적 및 열산화 안정성, 보다 우수한 광학적 투명성과 높은 기체 확산성 및 내염성의 특징을 부여 받고 있다.
○ 트리플루오로메틸(?CF3) 그룹을 고분자에 도입하는 것은 절대적인 특성 향상을 위한 구조 개질의 전략으로 가장 널리 활용되는 것 중의 하나이다. ?CF3 치환기를 함유한 poly(arylene ether)와 방향족 polyimide와 같은 고성능 고분자는 우수한 열적, 기계적, 용해성, 가공성, 광학 및 전기적 특성을 모두 겸비해 보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이들 고분자는 낮은 유전 특성 재료로서의 광학 디바이스, 기체와 용제 분리를 위한 멤브레인, 연료전지 등의 다양한 용도 분야에 적합하다
○ 최근의 관심 연구 분야로는 새로운 ?CF3 치환 단량체 합성과 그의 중합, 이들 고분자의 구조-물성과 관계 평가 등이 있다. 본 문헌에서는 최근 10년 간 개발된 ?CF3 치환 방향족 polyimide와 poly(arylene ether)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CF3 치환 폴리(아릴 에테르 케톤)와 폴리(아릴 에테르 술폰)에 대하여 특히 연료전지 용도의 프로톤-교환 멤브레인 관련사항을 포함한다.
○ 불소화 고분자는 고분자재료 중에서 독특한 그룹으로 분류되고 있다. 불소화는 원래 고분자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개질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고분자 특성을 유도하기도 한다. 특히 불소화 블록 공중합 고분자는 불소 고분자와 하이브리드 고분자 특성 모두의 독특한 특성을 보유하고 있다. 따라서 첨단 응용 분야가 전개되기도 한다. 특히 이차전지 등 첨단 분야의 핵심소재로 한국에서도 학술 및 상업적으로 다양하게 연구개발 되고 있다.
- 저자
- Mahua G. Dhara, Susanta Banerjee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0
- 권(호)
- 35
- 잡지명
- Progress in Polymer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022~1077
- 분석자
- 이*동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