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초임계수 원자로의 설계
- 전문가 제언
-
○ SCWR은 제4세대 국제포럼에서 제4세대 원자로의 하나로 채택되었다. 현재 미국 SCWR, 캐나다의 CANDU-SCWR, 유럽 고성능경수로(High Performance Light Water Reactor, HPLWR), 일본 초LWR과 한국 SCWR 등 다수의 개념이 존재한다. 이러한 발전의 배후에는 화석연료 발전소가 높은 압력과 온도를 사용함으로써 계속해서 그들의 능률을 상승시킨다는 사실이다.
○ 본고의 저자는 원자로 설계의 개선방향은 새롭고 단순한 방향, 즉 단순성으로 추진되어야 할 것으로 제안하였는데 구체적으로 ① 수소화물 지르코늄의 별도 감속제 조합으로, ② 축방향의 연료농축과 감속, ③ 더 긴 활성길이 ④ 원자로 압력용기의 벽이 얇아지는 경향으로 인한 더 작은 핵심직경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이러한 설계는 간이초임계수 원자로(Simplified Supercritical Water-Cooled Reactor, SSCWR)로 명명될 수 있으며 여러 가지 가동상태와 연소에 잘 적응함으로써 더 안전하고 더 신뢰할 수 있을 것이다.
○ 제4세대 6원자로형을 선정하였던 제4세대국제포럼(Gene IV Interna- tional Forum, GIF)이 보고한 2007년 보에 실린 한국의 SCWR에 관한 R&D 실적을 여기에 간략히 소개한다. 한국은 우선 1400MWe SCWR의 개념설계를 완성하였으며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열효율(~50%)을 더 개선하기 위해 재열채널(re-heat channels)을 이용하는 압력관에 적응하는 열역학적 사이클 향상평가.
- CANDU-SCWR 연료채널설계평가에 이용되는 실험시설의 향상.
- Cu-Cl사이클로부터 직접수소생산의 실험적 연구.
- 고성능경수로의 핵연로집합체, 원자로압력용기 및 내용물의 HPLWR 기계적설계에 연관된 연구.
- 최고피복표면온도를 감소하기 위한 연료개선, 연료피복의 열기계적 평가 및 안전시스템의 설계와 분석의 발전을 위한 일본의 열선스펙트럼에 관한 연구계속.
- 저자
- T. Reiss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0
- 권(호)
- 52
- 잡지명
- Progress in Nuclear Ener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177~189
- 분석자
- 김*만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