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스위스의 바이오에너지 - 지속가능한 바이오매스 잠재력의 평가

전문가 제언
○ 바이오매스를 직접 연소시켜 발전에 사용하거나 가스화단계를 거쳐 발전에 사용한다. 덴마크는 바이오폐기물과 밀집 등으로 약 150GWh의 전력과 1,500TJ의 열을 생산한다.

○ 이 자료는 스위스의 바이오매스 잠재력 평가에 관한 것이다. 바이오매스 자원을 선정하고 기술적 잠재력과 지속가능한 잠재력, 사용 잠재력과 잔존 잠재력 등으로 구분?평가하였다. 스위스의 바이오매스 잠재력으로 1차 에너지의 7%를 공급할 수 있다고 평가하였다.

○ 에너지작물, 곡류 잔류물, 목초 등 스위스의 농업 바이오매스는 지속가능한 잠재력이 없으나 목질 바이오매스, 축분, 폐 바이오매스 등은 비교적 큰 잠재력이 있다. 공급물질의 경합이용, 경제성, 스위스 바이오매스정책 등이 지속가능한 바이오매스 잠재력 확보의 제약으로 작용한다고 한다.

○ 우리나라에서는 최근 정부의 적극적 청정에너지 시책에 힘입어 축분 바이오매스의 단순 퇴?액비제조이용과 정화?투기 비율이 줄어드는 반면 혐기성발효에 의한 가스 생산 등 지역단위의 중형 이용시설이 늘어나면서 바이오매스 이용기술이 선진화 양상으로 변모해 가고 있다.

○ 우리나라의 축분 바이오매스 잠재력은 연간 약 5천만ton이며 산림 바이오매스 잠재력은 연간 대략 4억 톤 규모이다. 2013년까지 축분의 공동자원화시설 90개소를 설치하여 약 270만kW의 전기를 생산할 계획이며 8대 권역에 환경에너지 타운 14곳을 건설하여 운영할 계획이라 한다.

○ 스위스의 바이오매스 에너지정책은 환경보전정책과 일부 상충되어 바이오매스 잠재력 확대에 오히려 제약으로 작용한다고 하나 우리나라의 바이오매스 에너지정책은 건전하다고 생각된다. 탄소중립(carbon neutral)을 향해 접근하는 바이오매스 에너지 이용 확대가 기대된다.
저자
B. Steubing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0
권(호)
14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2256~2265
분석자
김*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