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 안전에 쓰이는 LC-MS
- 전문가 제언
-
○ 전 세계적으로 문제가 되었던 영국의 해면 모양 뇌병, 중국의 멜라민 첨가 분유 및 미국 땅콩의 살모넬라균 오염 등 식품 안전의 문제로 사람들이 죽거나 건강에 큰 해를 입는 일이 발생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여름철에 익히지 않은 수산물로 비브리오 패혈증에 걸려 중독되는 사례가 거의 해마다 일어나고 있다.
○ 근래에 소비자, 정부 및 생산자 모두 식품안전과 품질에 대하여 관심을 많이 쏟고 있다. 선진 GMP는 식인성 위험의 예방, 저감, 제어 또는 제거 노력의 일차적인 바탕이다. HACCP 제도는 식품오염의 예방, 완화 또는 통제를 위한 식품 분석수단을 마련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식품첨가물공전에 첨가물의 제조·가공·사용·보존 등의 방법에 관한 기준과 성분에 관한 규격 및 식품첨가물의 표시에 관한 기준을 수록하고 있다.
○ 식품의 살충제, 수의약품과 성장 촉진제, 자연 독소 및 환경 오염물질 및 식품 처리과정의 오염물질의 잔류물과 분해 및 대사산물을 관리하고 감시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분별, 정량 및 확인에는 LC-MS에 바탕을 두고 QqQ MS, LC-MS/MS, LC-TOF-MS 등의 기술과 QqLIT, QqTOF, LQT-FTICR-MS 및 LQT-Orbitrap 등과 연결시킨 다. 한 번에 많은 숫자의 화합물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게 되었다.
○ 우리 식품첨가물규정에서는 고전적인 방법으로 분석하고 확인하게 되어 있어서 나날이 늘어나고 있는 식품 오염물질을 능률적으로 시험하는데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일부 대학과 연구소에서 최신 장비를 써서 쌀과 밀가루의 살충제와 곡류의 자연 독소 등을 분석하여 공식적인 분석법을 정하는 기틀을 마련하고 있다.
○ 새로운 식품 안전을 적용하면 과실에서 살충제 대사산물을 확인하고 출현할 것이 예상되는 미지의 화합물을 발견하고 식별하는 잠재력을 나타낸다. 그렇지만 식별 라이브러리의 부족과 더 발전되어 복잡하지 않은 소프트웨어의 필요성과 같은 한계는 아직 이 분야의 연구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것을 막고 있다.
- 저자
- Ashok Kumar Malik, Cristina Blasco, Yolanda Pico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0
- 권(호)
- 1217
- 잡지명
- Journal of Chromatography A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4018~4040
- 분석자
- 김*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