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원전의 가동률 현황
- 전문가 제언
-
○ 미국은 가장 현실적인 원전을 설계하고 세계에서 가장 많은 원전을 건설하여 운전하고 있다. 미국이 개발한 경수로는 PWR과 BWR의 기술로 양분되어 있으며, 현재 104기가 운전 중에 있다. 건설 초기단계인 1970년대 이전에는 원전의 안전성에 중점을 두어 가동률이 50~60%에 불과하였기 때문에 원전의 경제성에 의문점을 가진 시기도 있었으나 점차 이를 개선하였다. 그러나 1978년에 발생하였던 TMI 원전사고는 점진적으로 회복되던 원전 보급에 큰 타격을 가하였으며, 이후 약 25년 이상 동안 신규 원전이 건설되지 못하는 침체기를 맞이하였다.
○ 그러나 세계는 급속한 경제 개발에 따라 과다한 화석연료를 사용하게 되었고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이 급증함에 따라 지구온난화 방지라는 큰 과제에 부딪히게 되었다. 국제사회는 기후변화협약과 교토의정서를 통해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강제적으로 규제하게 되었으며, 대체에너지의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한편, 그동안 원전의 안전성이 크게 개선되었기 때문에 원자력이 대체에너지로서의 역할을 담당할 것이라는 기대가 높아졌다. 결과적으로 많은 국가들이 원자력의 보급 확대를 계획하게 되었으며, 미국도 약 20기의 신규 원전 건설을 추진 중에 있다.
○ 원전은 막대한 초기투자비가 필요하며, 또한 경제성 제고를 위해서는 가동률을 높일 필요가 있다. 미국은 1980년대 이전에는 원전의 평균 가동률이 80% 이하였으나 끊임없는 보수와 기술 개선으로 이를 극복하여 1990년대에는 80% 이상의 가동률을 기록하였고, 2000년대에 들어서는 90% 이상의 세계 최고 수준의 가동률을 보이고 있다. 이 보고서는 미국의 가동률 현황을 분석하고 가동률 개선의 원인을 파악하여 앞으로도 높은 가동률을 유지하기 위한 방안을 기술하고 있다. 예를 들면, 동일 부지에 같은 설계의 원전 여러 기를 운전하는 방안 등이다.
○ 우리나라는 원전 가동률에서 세계 최고이다. 2008년 및 2009년 연속으로 미국을 앞서 1위를 하고 있다. 그러나 앞으로도 이러한 실적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가동률 향상을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해야 할 것이며, 가동률 향상에서 큰 실적을 기록한 미국의 경험을 기술하고 있는 이러한 자료가 큰 도움이 될 것이다.
- 저자
- E. MICHAEL BLAKE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0
- 권(호)
- 53(6)
- 잡지명
- Nuclear N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39~43
- 분석자
- 이*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