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자가포식작용: 세포보호 역할

전문가 제언
○ 이 리뷰는 여러 가지 스트레스 조건 하에서 세포보호 효과를 중개하는 자가포식현상에 의해 생존전략을 가지게 되는 작용기전 규명과 관련된 최신 정보들을 살펴 본 것이다. 요약하면 autophagy가 영양소 증진이나 생물에너지의 항상성 유지, 응집-경향 단백질들, p62 조절, mitophagy 및 세포내 병원균 제거들을 촉진하여 세포보호 기능을 나타내는 것이다.

○ Autophagy와 세포죽음 간의 관계는 매우 복잡하고, 부분적으로는 이것이 autophagy와 세포자살의 공동조절 면을 보이는 보고들이 속출하고 있다. 예를 들면 Bcl-2와 Bcl-x1이 세포자살과 autophagy 모두를 억제하며, autophagy 유전자인 Atg5가 과발현될 때 세포자살을 유발시킨다고 한다. Autophagy가 일반적으로 세포자살에 방어작용을 가지는 반면에, 최근 데-타에 의하면 세포자살과정에서의 caspase 활성화가 autophagy 단백질인 Beclin-1의 분해 또는 불활성화 시켜 autophagy를 저해한다고 한다. 그러므로 autophagy, 세포자살 및 그 밖의 세포사 간의 상호 역할에 대한 상세한 기구가 밝혀져야 한다고 본다.

○ Autophagy는 최근에 알려진 현상이며, 국내에서 이 분야에 종사하는 연구자들은 극소수이다. 지금까지 감염성 질병이, 퇴행성 질병 및 항-염증성 질병들의 치료용 신약개발은 주로 세포자살이나 세포괴사 차단에 초점을 두고 하고 있지만, 앞으로는 autophagy를 통한 세포보호 측면에서의 개발전략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저자
Kevin Moreau, Shouqing Luo, and David C Rubinsztein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0
권(호)
22(2)
잡지명
Current Opinion in Cell Bi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206~211
분석자
강*성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