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프집합이론에 토대한 첨단기술기업의 R&D혁신 성과프로세스 규명
- 전문가 제언
-
○ 이 글은 “러프집합이론에 토대한 첨단기술기업의 R&D혁신 성과 프로세스의 규명”을 주제로 하여 주요 논점, R&D활동에 대한 선행연구의 검토, 러프집합이론과 유동망 그라프 알고리듬, 첨단기술기업의 실증사례, 결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러프집합이론(Rough Set Theory:RST)을 응용하여 R&D혁신 결정규칙을 밝히고, R&D혁신 활동과 기업의 성과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 특히, 본 연구에서 첨단기술기업의 R&D혁신 활동은 경쟁우위의 중요한 원천이고, 수익을 실현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어 많은 첨단기술기업이 R&D혁신 활동에 투자하고 있다는 점과 대만 첨단기술기업의 경영책임자들은 R&D혁신 역량과 지역경쟁력의 수준을 필수적으로 향상시켜야 하고, 또한 R&D활동은 지식축적을 증가시키는 창의적 활동으로서 첨단기술 산업은 R&D집약도가 높아 기업의 혁신 활동도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 오늘날 첨단기술기업의 R&D활동에 대한 투자는 생산 활동과 전략적 결정을 위한 중요한 혁신원천이 되고 있으며, 선진국과 신흥경쟁국들은 첨단기술 산업을 육성, 발전시키기 위해 정책적 지원과 자금지원에 힘쓰고 있다. 최근 발표된 유럽연합의 기술혁신 강화전략에서도 위험성이 높은 혁신적인 상업화프로젝트에 공공자금 투입 프로그램의 도입 필요성을 강조했고, 이스라엘 정부는 첨단기술을 연구하는 기업에 조세감면 혜택은 물론 이러한 기업에 투자하는 자본에 연기금을 동원하기로 하는 등 특별대책을 강구하고 있어 우리의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다.
○ 우리나라도 첨단기술 산업에 대해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육성대책을 수립하여 추진하지 않으면 신흥경쟁국들에게 선점 당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시사된 바와 같이 우리나라의 R&D혁신 성과가 미국, 일본과 같은 선진국 수준으로 향상되기 위해서는 첨단기술기업 자체의 노력 경주가 우선 필요하고, 아울러 정부도 R&D혁신을 촉진하기 위해 산업정책 및 과학기술정책 차원에서 R&D혁신활동 지원제도를 구축하고 운영해야 할 것이다.
- 저자
- Chun-Hsien Wang,Yang-Chieh Chin and Gwo-Hshiung Tzeng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과학기술일반
- 연도
- 2010
- 권(호)
- 30
- 잡지명
- Technovatio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과학기술일반
- 페이지
- 447~458
- 분석자
- 김*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