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Trichothecene 마이코톡신(mycotoxin)의 화학 및 생물학적 제독

전문가 제언
○ Trichothecene 마이코톡신을 생성하는 곰팡이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지리적, 계절적으로 분포를 달리하고 있어 이들이 생성하는 독소도 다양하다. 또한 이들 곰팡이의 오염원인 곡물이나 식품재료가 다양하여 그 오염도를 평가하는데 어려움이 많다. 본 리뷰에서도 같은 곡물이라 할지라도 오염도에서 큰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곡물의 재배, 수확, 운송, 저장, 가공, 처리 등의 과정이 다르기 때문이다.

○ Trichothecene 마이코톡신의 제독방법으로 물리, 화학 및 생물학적 제독 등 여러 방법이 있지만 실용화하기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다. 이들 제독방법의 제독효과는 물론 새로운 독성물질의 생성, 영양소의 파괴, 경제적 가치 등 효용성, 실용성, 경제성 등을 판단해야 하기 때문이다.

○ 일반적으로 물리, 화학적 제독방법에 비해 제독효과는 미흡하나 영양 손실이 적고 안전성이 있는 생물학적 제독방법을 최근 크게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미생물을 직접 이용하기에는 식품 규정상 문제점이 있어 이들 미생물이 생성하는 효소 또는 유전자를 활용하는 방법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보다 많은 제독효소를 탐색하고 성상을 규명하여 제독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찾아 이들 유전자를 다른 식물에 클론하여 마이코톡신 저항성 식물을 창출하고 나아가 마이코톡신이 전무한 곡물(식품) 재배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곡물에 오염된 마이코톡신을 제거하는 방법은 현재로는 없기 때문에 오염원으로부터 곡물이나 식품을 사전 차단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따라서 곡물의 재배에서부터 가공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과정에서의 곰팡이의 오염 및 독소의 생성기전을 파악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연구기관 및 관련기업들의 체계적인 분석연구가 선행되어야 하며 곡물의 제조 및 가공과정에서 곰팡이 또는 독소의 침입을 차단하기 위한 기업들의 꾸준한 노력이 있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저자
Jianwei He, Ting Zhou, J. Christopher Young, Greg J. Boland and Peter M. Scott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0
권(호)
21(2)
잡지명
Trends in Food Science & 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67~76
분석자
민*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