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막 실리콘 태양전지의 광 매니지먼트
- 전문가 제언
-
○ 태양광 발전은 지구온난화 대책 중에서 중요한 기술 중 하나이다. 그러나 이것은 다른 재생에너지에 비해서 발전단가가 높기 때문에 보급 속도가 늦다. 따라서 태양광 발전기술의 당면과제는 발전비용을 낮추어서 전력단가를 내리는 것이다.
○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우선 실리콘의 공급부족 현상을 고려하여 결정질 실리콘형 대신 박막 실리콘형으로 바꾸어야 한다. 또 박막 실리콘 태양전지의 발전효율을 결정질 실리콘형 수준으로 높여야 한다.
○ 그러나 박막 실리콘 태양전지는 제조과정에서 필요한 플라스마 증착기이나 스퍼터링(sputtering) 장치 등이 고가이므로 초기 투자비가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설계 과정에서부터 생산성을 고려해야 한다.
○ 우리나라는 1993년 12월에 세계 47번째로 기후변화협약(UNFCCC)에 가입했다. 또 에너지 사용량 세계 11위, 온실가스 발생량 세계 9위이다. 따라서 정부는 태양전지를 포함한 신재생에너지 사업에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즉 환경과 에너지에 관한 연구개발 사업에 우선적 지원을 한다. 또 태양광 발전 시설에도 보조금을 지원하고 잉여전력은 구매하는 제도도 시행되고 있다.
○ 태양광 기술은 미국, 독일, 일본 등이 선도하고 있다. 최근에는 중국이 실리콘 태양전지를 대량 생산하는 신공장건설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반도체기술을 바탕으로 전문 연구기관과 기업이 합심하여 연구개발에 투자하고 있어 앞으로 훌륭한 결실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저자
- Hitoshi Sa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0
- 권(호)
- 79(5)
- 잡지명
- 應用物理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408~412
- 분석자
- 허*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