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바다에서 일어나는 가족 간의 갈등

전문가 제언
○ 성적으로 번식을 행하는 생물에서는 가족 구성원들 사이에 이해의 충돌은 피할 수 없는 일이다. 이러한 갈등의 강도는 어미와 새끼 사이의 상호작용과 혼잡성의 수준에 따라 많이 좌우된다.

○ 육지 생물의 진화적 생태계에서 가족 구성원의 갈등은 정평이 난 것임에도 불구하고 해양왕국에서의 그 영향은 대부분이 알려지지 않고 있다. 여하튼 해양 생물은 성적 상대나 동기간이나 어미-자식 간의 충돌이 명백함을 보이는 생식적, 발육적 형태에서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 게다가 이러한 종들에서 다중적인 짝짓기가 존재한다는 것은 그 가능성이 증가함은 물론 이러한 갈등의 정도도 증가하게 만드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해양에서의 진화가 만드는 생명사의 여러 형태에서 다양성에 이르기까지의 혼란스러운 여러 양상은 충돌 이론이라는 렌즈를 통하여 뚜렷해지는 것이다.

○ 해양 생물학자들은 생명사 형질의 진화에 대한 가족의 갈등에서 파생되는 문제와, 짝짓기 체계에서 일어나는 갈등과 그들의 상호작용에 대해서 정량화되어야 할 일들이 산적되고 있다는 것을 이제 막 생각하기 시작한 듯이 보인다.

○ 이에 더하여 바다에서 일어나고 멀리 퍼지고 있는 가족적 갈등에 대한 인정에서 출현되고 있는 화제들로 혈연 인식하기(kin recognition), 식량자원의 조절(resource control), 갈등의 중재(conflict mediation), 유전적 각인(genomic imprinting), 종의 분화(speciation), 일처다부의 이유(why polyandry) 등의 문제들이 제기되고 있다. 이 분야의 연구에 몰두하는 우리나라 연구진들께 본고가 일부나마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저자
Stephanie Jill Kamel, Richard K. Grosberg and Dustin J. Marshal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기초과학
연도
2010
권(호)
25
잡지명
Trends in Ecology & Evolution
과학기술
표준분류
기초과학
페이지
442~449
분석자
김*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