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주물사와 침출수
- 전문가 제언
-
○ 우리나라는 세계 10위권의 주물 생산국으로 주조업체수는 약 500여개나 되며, 연간 생산량은 약 200만 톤에 이른다. 한편 국내에서 발생되는 폐주물사는 연간 약 70여만 톤(생형주물사 35만여 톤, 화학점결사 35여만 톤)에 이른다. 한편 주물신사 소요량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므로 폐주물사의 재활용은 환경개선이나 경제적인 면에서 그 의미가 크다.
○ 국내에서는 폐주물사를 도로포장 골재, 시멘트 원료 등으로 이용하기 위한 연구는 비교적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실제의 재활용 율은 선진국에 비하여 매우 낮은 편이고 발생되는 폐주물사는 대부분을 매립 처리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량의 침출수 발생과 함께 심각한 환경오염을 일으키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환경오염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폐주물사의 발생을 우선적으로 감소시켜야 할 것이다. 폐주물사의 감소방안으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사용된 주물사를 재생 처리하여 재활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재생회수가 용이한 조형법의 함께 효과적이고 저렴하고 요율적인 재생설비의 개발, 보급이 시급하다. 한편 폐주물사의 침출수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것도 중요하다.
○ 대부분의 주조업체는 영세한 중소기업에 속하여 충분한 재생설비를 갖추지 못하고 있다. 한편 폐사 침출수와 관련된 정보는 물론이고 이해도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침출수 발생요인의 감소 노력이 적절하게 실행되지 못하고 있다. 그러므로 여기 소개하는 정보자료는 폐주물사에서 발생되는 침출수의 특성을 비교적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으므로 주물 종사자의 이해를 높이는 데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 저자
- Rafat Siddique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0
- 권(호)
- 54
- 잡지명
- Resources, Conservation and Recycling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1027~1036
- 분석자
- 김*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