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도로안전을 위한 시스템이론 접근의 필요성

전문가 제언
○ 세계보건기구의 세계 도로안전 현황 보고서에 의하면 전 세계적으로 매년 도로교통 사고로 인한 사망자가 약 120만 명에 달하고, 부상자가 2천만 명에서 5천만 명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도로안전 대책이 개선되지 않을 경우 2030년 도로교통사고 사망자가 한해 240만 명으로 증가하여 교통사고가 심장질환, 뇌졸중, 호흡기 감염, 폐질환에 이어 5번째로 큰 사망 원인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5세부터 29세까지 청년층의 사망 원인으로는 교통사고가 수위를 차지하고 있다.

○ 세계보건기구가 2008년 전 세계 178개국을 대상으로 표준화된 조사를 실시해 분석한 결과, 전 세계 도로교통 사망자의 90% 이상이 저소득 또는 중간소득 국가들에서 발생하고, 보행자, 자전거와 오토바이 탑승자 등 취약한 도로 이용자들로 분류되는 사람들이 사망자의 거의 절반을 차지한다며, 이들 나라에서 이들 고 위험 군을 위한 안전 대책을 개선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 유럽연합에서는 도로안전 7대 전략계획을 수립하고 차량, 기반시설 및 도로이용자 행동에 대한 개선을 중점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7대 전략은 트럭과 자동차를 위한 개선된 안전대책, 안전한 도로의 구축, 지능형 차량의 개발, 운전면허 및 교육의 강화, 단속의 효율화, 사상자 감소, 모터사이클 운전자를 집중적으로 관리하는 총체적인 관리시스템의 효율적인 시행을 목적으로 한다.

○ 한국이 세계보건기구에 제출한 자료에서 속도제한, 음주운전, 오토바이 안전모자 사용, 좌석 안전벨트 사용 등에선 규정 집행 도를 10점 만점에 비교적 높은 점수인 7점으로 자체 평가했으나, 영·유아용 안전좌석 등 어린이 탑승자를 위한 안전법규의 집행 정도는 2점으로 낮게 평가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개선책으로 새로운 첨단기술의 도입이 적극 검토되고 있다. 앞으로 스마트 기술에 대한 새로운 규격의 제안, 제한속도, 교통 및 혼잡에 대한 교통정보의 실시간 공유로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안전관리시스템의 구축이 필수적이라고 생각된다.
저자
Peter Larsson ,Sidney W.A. Dekker , Claes Tingval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10
권(호)
48
잡지명
Safety Science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1167~1174
분석자
진*훈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