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Lignocellulose로부터 에탄올 생산을 위한 핵심기술

전문가 제언
?전문가 제언?

○ 생물연료는 주로 옥수수 같은 곡물을 발효시켜 에탄올 형태로 얻는다. 생물자원으로 곡물이외에 lignocellulose를 우리 주변에서 많이 이용할 수 있는데, 볏짚과 밀짚 같은 짚이 있고, 옥수수 줄기와 잎, 설탕을 짠 사탕수수 잔사, 목재 조각, 폐지 등이 lignocellulose를 함유한다. Lignocellulose는 cellulose, hemicellulose, 및 lignin으로 구성되며 셀루로오스만이 생물연료 제조에 이용될 수 있다.

○ Lignocellulose를 생물연료 생산에 원료로 사용하려면, 먼저 lignocellulose를 분해하여 셀루로오스와 리그닌을 분리하여야 한다. 다음에 셀루로오스만을 cellulase 효소를 사용하여 가수분해하고 D-glucose를 얻는다. 그리고 D-glucose를 발효시켜 에탄올을 얻고 최종으로 생성물을 증류하여 에탄올을 얻는다. 이런 여러 공정을 걸치는 동안에 경제적 문제, 환경문제들을 해결하여야 한다.

○ Lignocellulose를 이용하려면 전처리과정이 필요하다. 흔히 쓰이는 과정이 증기파열이다. 이 과정에서 lignocellulose의 결정구조가 파괴되고 일부 hemicellulose가 가수분해 되며 리그닌도 재-분포 되어 일부 떨어져나간다. 증기파열만으로 부족하여 다른 방법과 함께 사용하기도 한다. 증기파열 후 알칼리 과산화물 전처리, 증기파열과 함께 이온성 액체 처리, 또는 유기용매 추출과 증기파열, 또는 증기파열 전에 미세한 분쇄 등의 처리로 공정을 개선할 수 있다.

○ Cellulase 효소는 셀루로오스의 β-1,4 결합을 가수분해하고 이 효소는 미생물에서 얻어진다. Cellulase 효소의 비용이 총비용의 30∼50%에 달할 정도로 비중이 대단히 크다. Chen 등이 개발한 GDD-SSF(gas double dynamic solid-state fermentation)은 통기에 의해 충분한 양의 산소를 공급하고 발생한 CO2를 제거하므로 써 cellulase 활성을 2배 정도 증가시킬 수 있었다.

○ 농업 폐기물의 이용은 폐기물의 재활용뿐만 아니라 친환경 연료생산이라는 일거양득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앞으로 활발한 연구를 통해서 lignocellulose를 이용한 대체연료의 보편화가 이뤄지길 기대한다.
저자
Hongzhang Chen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0
권(호)
28
잡지명
Biotechnology Advances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556~562
분석자
서*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