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디젤 생산에 적용된 EEA
- 전문가 제언
-
○ 바이오디젤은 바이오에탄올과 함께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바이오연료로서, 콩기름·유채기름·폐식물기름·해조유 따위의 식물성 기름을 원료로 해서 만든 무공해 연료를 통틀어 일컫는다.
○ 보통 메탄올을 이용해 3가의 지방산에 글리세롤이 결합한 트라이글리세리드로부터 글리세롤을 분리한 다음, 지방산 에스터를 만들어 내는 에스테르교환방법을 통하여 만든다. 이때 만들어진 바이오디젤은 바로 지방산 메틸에스테르(FAME)이다.
○ 150℃의 인화점을 가진 바이오디젤은 경유(64℃)에 비해 불이 잘 붙지 않고, 더구나 폭발하기 쉬운 휘발유(-45℃)보다는 안정적이다. 그러나 바이오디젤은 동결점이 경유보다 높아서 (약 -5℃) 추운 기후에서 순수한 형태로 사용하는데 제약이 있다. 또한 5℃ 이하에서는 유동성이 떨어져 연료 공급이 원할치 못하다.
○ 경유와는 달리 바이오디젤은 미생물 분해되며, 독성이 없어, 연료로서 연소될 때 독성이나 기타 배출물이 현저하게 적다. 메틸에스터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대개 메탄올을 사용하지만, 에틸에스터 바이오디젤을 제조하는 데는 에탄올도 사용할 수 있다.
○ 브라질·캐나다·미국 등에서는 알코올을 이용한 바이오에너지 공급량이 이미 원자력에 맞먹는 수준에 도달해 있으며, 인도네시아·일본도 상당한 수준의 바이오에너지 기술을 갖고 있다. 한국에서는 대체에너지 기술개발사업으로 바이오에너지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국내에서도 단일 정량자를 채택한 시스템분석 방법인 EEA를 자원 사용 및 효율성 평가에 적용시킴으로서, 추정환경영향에 대한 값의 정확한 산출과 경제 분야들의 상호관계를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저자
- L. Talens Peiro, G. Villalba Mendez, E. Sciubba, X. Gabarrell i Durany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0
- 권(호)
- 35
- 잡지명
- Ener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2861~2869
- 분석자
- 조*동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