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어류 콜라겐 소재의 개발

전문가 제언
○ 콜라겐에 대한 ? 콜라겐을 선호하는 인식이, 그 이용 분야가 화장품이든 건강보조식품이든, 한국에서도 점차 깊어져 감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게 된 원인의 일부는 일본으로부터의 영향 때문이 아닌가 생각한다.

○ 일본은 BSE의 영향으로, 건강보조식품의 경우는 주로 어류 콜라겐 제품에 치중하는 경향이지만, 한국에서 수입하는 일본의 콜라겐 제품도 역시 어류 콜라겐 제품이다. 국내 제품으로는 아미노산과 콜라겐 혼합제품이 나와 있다.

○ 이 논문의 원 제목에는 기능성 재료라고 하였으나, 그것은 화장품 재료로서의 기능을 위주로 한 것이고, 식품재료로서의 기능성은 부차적인 내용으로 취급되었다. 즉 단백질의 일종인 콜라겐이 섭취된 후, 그 원래의 단백질로 되기까지는 복잡한 생리적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일 것이다. 그 가능성을 보고 그와 같은 기술(記述)이 될 수는 있겠으나 지나친 판단은 피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 체내에서의 콜라겐 생합성에서 기본이 되는 아미노산은 글리신과 프롤린이다. Procollagen의 폴리펩티드가 만들어지고, 이것의 어느 부위에서 프롤린이 히드록시화하는 반응으로 콜라겐의 트리플 헬릭스를 만들게 되는데, 이때 각 단계마다 비타민 C가 관여하게 된다.

○ 또한 라이신의 히드록시화로 트리플 헬릭스의 가교화(cross-linking)가 이루어지고, 섬유상을 만들어 줌으로써 콜라겐이 되는데, 이 때의 히드록시화 반응에도 역시 비타민 C가 관여한다.

○ 환경부의 조사결과에 의하면 나일 틸라피아가 경기도 화성, 평택 간을 흐르는 황구지천에 자연 서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한다. 공장의 열기의 영향으로 수온이 상승한 탓으로 판단하고 있다. 1955년 양식 목적으로 해외에서 진해 내수면 연구소로 옮겨온 후, 전국으로 이식된 바 있으나, 10℃이하에서는 폐사하므로 정착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기온이 온화한 남해안이거나 제주도에서의 양식을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저자
IIJIMA Michihir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0
권(호)
52(6)
잡지명
New Food Industr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24~37
분석자
남*중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