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판재의 국소 가열 순차 성형 법

전문가 제언
○ 금속재료 중에서 철강만큼 비강도가 높은 것은 없다. 그래서 이제까지는 대부분의 기계, 기구, 장치 등의 구조재료는 철강으로 만들었으나 철강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경량금속에 비하여 단위 부피당의 무게가 무거운 것이 흠이다. 그리고 이렇게 대부분의 구조에 철강을 사용하여 철의 소요가 증대되어 원자재 분쟁 가능성과, 거기에 철 자원고갈 상태에 이르지 않을까 하는 염려로 많은 과학자들은 철자원에 대체할 수 있는 소재 연구에 전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 최근 세계 연구자들은 이와 같은 현실감을 중시하여 철강의 대체 재료를 사용한 구조의 경량화를 위한 대체재료(경량에 난가공재)의 가공법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경량에 강성이 높아 구조경량화에 주목받고 있는 재료로 마그네슘합금이 있다. 마그네슘합금은 온도의존성 재료이기 때문에 실온에서는 변형저항이 크고 취성이 있어 소성가공이 어려워 재료 전체를 가열하여 온간가공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온간가공은 다양한 모양의 요구형상 금형을 만들고 난가공재를 가열 금형에 압을 가하여 성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방법은 금형제작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재료 전체를 가열해야 하기 때문에 가공에서 납기지연과 코스트 상승을 피할 수 없다. 그래서 고안된 것이 난가공재가 변형을 받는 부분만 국소적으로 가열하여 성형하는 늘림 성형법(Incremental forming)이 개발 되었고, 또 단순 굽힘이나 각통 등과 같은 제품의 가공에는 플렉시블 레이저 성형법도 개발되어 실 적용성 시험을 하고 있다.

○ 우리나라의 가공기술개발에 대한 노력은 선진공업국에 비하여 미약하다고 판단된다. 그리고 가공기술은 IT, BT, ST 등에 비교한다면 첨단기술에 속하지도 못하고 간혹 혹자는 3D기술로 인식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소성가공의 경우는 더욱 그러한 느낌을 받는다. 그러나 IT, BT, ST등의 기술이 발전하려면 가공기술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는 점을 기술개발 투자 입안자는 십분 이해해 주셨으면 한다.
저자
Rytaro HINO, Fusahito YOSHID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10
권(호)
51(591)
잡지명
塑性と加工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297~301
분석자
정*갑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