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가면역질환에서 telomere 및 telomerase의 기능
- 전문가 제언
-
○ Telomere(말단소립 또는 종말체로 번역됨)는 진핵세포의 직쇄상 염색체의 말단부분으로 수개의 염기가 반복되어 배열되어 있으며 DNA의 복제 기점이 밀집하고 있다. 효모에서는 telomere가 핵막에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암세포에서 관찰되는 염색체의 말단융합(end-to-end fusion)이 염색체 불안정화의 원인이 되며, 이 융합은 telomere의 결손에 의해서 일어나는 것으로 시사되고 있다.
○ Telomerase는 telomere 합성효소로 일종의 역전사 효소와 같은 양상으로 DNA 말단부분을 재생한다. 이 효소는 직쇄상 DNA의 3‘-end에 새로운 염기서열을 첨가한다. 그러나 이 효소는 일반 역전사 효소와는 달리 어떤 DNA template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것은 이 효소가 특징적으로 작은 조각의 RNA template를 보조인자(cofactor)로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 자가면역 질환은 공격당하는 조직에 따라 크게 2부류로 나눠진다. 특정 단일 조직이 공격당하는 경우와 다양한 조직과 기관이 동시에 공격당하는 경우가 있다. 전자의 대표적인 경우는 제1형 당뇨병으로 인슐린을 생산하는 췌장의 베타 세포가 자가항체에 의해 공격당하여 파괴되는 질환이다. 후자의 대표적인 경우는 전신 홍반성 낭창(systemic lupus erythematosus: SLE)으로, 이 질환에서는 다양한 조직세포의 DNA와 핵 내의 물질에 대한 자가항체를 생성하여 주요 장기의 손상과 기능장애를 야기한다.
○ 대부분의 자가면역질환에서 염증반응과 산화성 스트레스가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한편 telomere의 축소도 이들 염증반응 및 산화성 스트레스와 깊이 연관되어 있어 telomere/telomerase 시스템과 자가면역 내지 염증성 질환과의 상호관련성이 암시되어 왔다. 지난 10여 년간 암생물학에서 telomere/telomerase의 의의와 치료 수단에의 응용에 대한 의욕적인 다수의 연구와 함께 자가면역질환에서의 기능에 대한 연구도 현 재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 저자
- Sophie Georgin-Lavialle,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0
- 권(호)
- 9
- 잡지명
- Autoimmunity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646~651
- 분석자
- 김*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