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토류자석의 자원문제와 대응기술 개발동향
- 전문가 제언
-
○ 원소주기율표에서 란탄족 15개 원소와 Sc, Y등의 2개 원소를 포함한 17개 원소를 희토류원소라 통칭한다. 금속으로서는 활성이 크고 합금이 용이하며 산화물은 안정하여 오래전부터 금속공업, 유리공업 등에 사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형광물질, 고급렌즈, 자성체, 초전도체 고밀도 기억소자, 레이저 등의 첨단산업의 기능성 재료로 응용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 희토류원소의 지각 중 평균 함유량은 100ppm 이하이며 가장 높은 Ce가 60ppm이고 La가 30ppm, Nd가 25ppm 등이고 10ppm 이상이 6개 원소에 불과하다. 그러나 광물매장량 분포를 보면 중국, 러시아, 미국, 호주, 인도 등의 5개국에 편재되어 있다.
○ 희토류원소를 함유한 70여종의 광물 중에 상업적으로 이용이 가능한 것은 바스트네사이트(bastnesite), 모나자이트(monazite), 제노타임, 이온흡착점토(ion absorption clays) 등이며 이들로부터 생산되는 희토류가 전체 생산량의 95% 이상을 차지한다.
○ 이 문헌은 Nd자석과 여기에 사용되는 희토류원소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Nd자석의 표준조성은 주성분인 Fe(69%) 이외에 Nd원소가 약 25%, Dy가 약 4% 함유하고 있다. 세계 Nd자석용 합금은 연간 생산량이 5만 톤으로 추정되어 조성에서 사용되는 희토류 원소량을 구하면 Nd원소는 12,500톤, Dy는 2000톤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원료인 희토류원소에 자원적인 문제는 없는지 많은 사람이 염려하고 있다. 여기서는 희토류 자원의 현상과 문제점 및 전망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 그간에 희토류 공급은 상당한 변화가 있었으며 현재는 중국이 광물공급을 주도하게 되었고 주요 가공국가이자 정련화합물 이용국가가 되었다. 중국은 이미 희토류 재료의 생산과 수출을 통제하고 있어 수출량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따라서 한국도 중국에만 의존하여 첨단사업에 소요되는 수요를 충족시킬 수 없어 향후 대체 공급처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저자
- Minowa Tagehis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0
- 권(호)
- 58(7)
- 잡지명
- 工業材料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22~27
- 분석자
- 김*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