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파키스탄의 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시나리오

전문가 제언

○ 지리학적으로 파키스탄은 재생에너지 자원이 전통적인 에너지 자원에 비해 풍부하지만 전통에너지의 의존도는 99% 이상이다. 본고는 재생에너지에 대한 파키스탄의 진행 활동, 개발 프로젝트 그리고 재생에너지에 대한 정부 의 계획과 성과를 검토해보고 재생에너지 기술이용에 대한 효과적인 계획과 이용을 제안한다.

○ 비교적 풍부한 천연가스 및 석탄 매장량에도 불구, 파키스탄의 전력 수급은 지난 2005년부터 지속되고 있는 경제 활성화에 따른 산업생산 증가 및 일반 가정의 전력수요 급증으로 2006년부터 수요초과로 돌아선 이후 수급 불균형이 계속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파키스탄 정부는 대체에너지산업을 미래의 주요 전력 공급원으로 활용키 위해 각종 개발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있다.

○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온천으로 이용하는 것 외에는 지열 에너지를 본격적으로 이용하려는 시도가 별로 없었으며, 지열 자원도 저온염수가 주류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앞으로도 이런 추세는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백두산과 한라산 지역은 분화기록이 존재하는 휴화산으로 상당한 지열 에너지 자원 부존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최소한 자원 탐사 활동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 국내의 전기발전은 대부분 원자력 발전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계절별로 보면 무더운 한여름이 가장 전력소비량이 많으며, 겨울철 전기 소비량은 상대적으로 적은편이다. 따라서 겨울철에 주로 이용하는 난방시스템을 전기를 이용한 절약형 면상발열체로 대신 한다면 에너지의 계절별 고른 사용과 더불어 에너지사용 청정효과, 환경오염 방지 및 엄청난 석유 에너지 대체효과가 있을 것이다.

○ 최근 정부는 국제재생에너지기구 규정 비준서를 독일 외교부에 기탁하였다. 국제재생에너지기구(IRENA)는 재생에너지에 특화된 최초의 정부 간 국제기구로, IRENA 참여를 통해 해외 재생에너지 정책 및 기술선진사례 등 관련 정보를 파악하여 국내 재생에너지 산업 역량제고 및 기업의 해외시장 진출기반 조성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저자
Munawar A. Sheikh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0
권(호)
14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354~363
분석자
마*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